카자흐스탄, 올해만 130개 암호화폐 플랫폼 폐쇄…1,670만 달러 불법 자산 압수

| 서지우 기자

카자흐스탄이 중앙아시아의 주요 암호화폐 허브로 부상하는 가운데, 자금세탁을 포함한 불법 암호화폐 활동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만 해도 총 130개 암호화폐 플랫폼이 당국에 의해 폐쇄됐으며, 관련 수사 과정에서 다수의 자산이 몰수됐다.

카자흐스탄 금융감독원(AFM)의 대변인은 최근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이들 플랫폼이 자금세탁 범죄에 연루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올해 AFM이 압수한 디지털 자산 규모는 1,670만 달러(약 232억 1,300만 원)에 달한다. 해당 내용은 현지 언론 보도를 통해서도 확인됐다.

이같은 조치는 카자흐스탄 정부가 암호화폐 산업을 육성하는 한편, 업계의 불법 활동에 대해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고 있다는 방증이라는 평가다. 불법 채굴에 대해서도 예외는 없었다. 지난주에는 불법 마이닝 시설에서 확보한 64만 2,000달러(약 8억 9,200만 원) 상당의 암호화폐가 추가로 압수됐다.

불법 금융거래를 원천 차단하기 위한 제도 개편도 시행된다. AFM의 카이랏 비자노프(Kairat Bizhanov) 부국장에 따르면, 앞으로 50만 텡게(약 129만 원) 이상을 은행 카드로 이체할 경우 송금자의 고유식별번호(IIN)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이는 암호화폐와 무관한 일반 송금에도 적용되는 요건으로, 자금세탁과 탈세 방지 목적이 크다.

당국은 이처럼 강도 높은 규제를 도입하면서도 장기적으로는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의 활용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이번 단속은 암호화폐 산업 전체에 대한 탄압이라기보다는 시장 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정화’ 작전이라는 해석이 힘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