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이 하락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기관 투자자들이 예상을 뒤엎는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최근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XRP 등 주요 암호화폐 관련 ETF(상장지수펀드) 및 ETP(상장지수상품)에 유입된 자금이 총 60억 달러(약 8조 3,400억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수치는 기존 시장 분위기와 뚜렷하게 대조된다. 암호화폐 전반이 가격 조정을 겪는 와중에도 기관들의 자금 유입은 오히려 강해지면서, ETF 시장 내 투자심리가 여전히 견고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분석 플랫폼 센토라(Sentora)에 따르면, 각종 규제 미비에도 불구하고 전통 금융권의 기대감은 오히려 확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 출시된 XRP ETF에 대한 수요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XRP는 사상 최대 규모의 주간 자금 유입을 기록하며 비트코인, 이더리움 중심의 기관 투자 지형 속에서 새로운 대안 자산으로 부상 중이다. 이는 XRP의 낮은 가격 흐름을 부정적으로 해석하는 개인 투자자들과 달리, 대형 자산운용사들은 이를 매력적인 진입 타이밍으로 판단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시장조사업체의 통계에 따르면, 이번 결과는 지난 6월 이후 현물 기반 암호화폐 ETF 내 가장 큰 유입 규모로 기록됐다. XRP가 ETP 포트폴리오에 편입된 직후 이뤄졌다는 점에서 상징성도 크다.
시장 불확실성이 잦아들지 않고 있는 시점에 이처럼 거대한 자금이 유입됐다는 사실은, 제도권 기관 내 암호화폐에 대한 장기 상승 전망이 여전하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 특히 XRP의 경우,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오랜 법적 분쟁에도 불구하고 투자 매력이 부각되며, 소매시장 이상의 전략적 가치가 입증되고 있다는 평도 나오고 있다.
향후 이러한 기관 중심의 자금 흐름이 침체 국면에 빠진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숨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XRP,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 등 주요 자산군의 반등 가능성을 높이는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