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이 최근 24시간 동안 급락하며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에 따르면, XRP는 한때 1.2달러(약 1,668원)까지 급락한 뒤 반등해 현재는 약 2.4달러(약 3,336원) 선에서 거래 중이다. 이번 하락으로 인해 약 7억 달러(약 9,730억 원) 규모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며 시장 전반에 파장이 일었다.
이번 급락은 XRP에 국한된 이슈라기보다는 암호화폐 전반의 매도 압력과 과도한 레버리지 청산 영향으로 분석된다. 주요 디지털 자산인 비트코인(BTC)의 가격이 단 몇 시간 만에 12만 2,000달러(약 1억 6,958만 원)에서 10만 5,000달러(약 1억 4,595만 원)까지 추락하자, 시장 전체에 '공포 매도'가 이어졌고 알트코인은 이보다 더 큰 낙폭을 기록했다.
특히 코스모스(ATOM)는 하루 사이 가치의 99%가 증발했다가 반등하는 극단적 변동성을 보였다. 이러한 급변은 XRP뿐 아니라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도지코인(DOGE) 등 주요 알트코인의 급격한 손실을 야기하며 시장 참여자들의 포지션을 무차별적으로 흔들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암호화폐 시장에서 레버리지 사용의 위험성을 다시 한 번 경고하는 신호로 보고 있다.
이번 급락의 명확한 단초가 특정 프로젝트에 있는 것은 아니며, 전반적인 시장 청산과 호가창의 유동성 부족이 중첩된 탓에 파급력이 컸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기존에 얇았던 알트코인 매수 대기 물량은 대규모 매도세를 견디지 못했고, 하락폭을 증폭시켰다는 지적이다.
한편 XRP의 대형 보유자들이 매일 약 5,000만 달러(약 695억 원) 규모의 물량을 매도했다는 보고서도 있어, 추가적인 하락 가능성에 불안이 커지고 있다. 반면 일부 분석가는 XRP가 3달러(약 4,170원) 수준에서 지지를 받을 경우 새로운 상승 랠리가 촉발될 수 있다고 진단한다.
시장의 변동성이 극단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레버리지 사용에 보다 신중한 태도를 보여야 할 필요가 있다. 최근의 급변 사태는, 눈 깜짝할 사이 수천억 원대 자금이 증발할 수 있음을 증명한 사례로 역사에 남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