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락 이후 반등 신호 나타난 파이코인
2025년 10월 11일 기준 파이코인(PI)은 약 0.21달러(약 283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24시간 동안의 가격 범위는 0.196달러(약 264원)에서 0.238달러(약 320원) 사이였다. 이는 2025년 5월 기록한 최고가 1.669달러(약 2,250원) 대비 약 85% 하락한 상태다.
기술적 분석에서는 주간 차트 상 강세 반전 신호인 '불리시 엔걸핑' 패턴이 포착돼 단기적 반등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평가다. 상대강도지수(RSI)가 30 이하로 떨어져 과매도 상태에 진입했으며, 이는 장기 투자자들에게 저점 매수 가능성을 시사한다.
시장 전망과 가격 예측
대부분의 시장 분석가들은 파이코인이 2025년 말까지 0.22달러(약 296원)에서 0.26달러(약 350원) 사이에서 거래될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상하고 있다. 반면, 크리스마스까지 1달러(약 1,350원), 2026년까지 5달러(약 6,750원)라는 낙관적인 장기 예측은 생태계의 파격적인 성장과 글로벌 대형 거래소 상장이라는 전제가 필요하기에 실현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다.
생태계 개발 진행 상황
파이 네트워크는 현재 버전 23 업그레이드를 진행 중이며, 향후 테스트넷1과 테스트넷2를 거쳐 최종 메인넷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신규 사용자의 지갑 활성화를 보다 간소화하기 위한 ‘빠른 KYC’ 기능도 도입됐다.
또한 지난 8월 시작된 ‘파이 해커톤 2025’가 현재 진행 중이다. 이는 개발자들이 파이 생태계 내에서 새로운 앱과 서비스 등을 개발하도록 유도하는 행사로, 파이코인의 실질 활용성 확대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파이코인의 기술적, 구조적 도전 과제
전문가들은 파이코인의 향후 생존과 가격 회복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1. 토큰 공급 과잉 우려: 현재 파이코인의 유통량은 약 82억 4,644만 개이며, 이는 가격에 하방 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특히 향후 대규모 토큰 락업 해제 시 공급 과잉 위험이 더욱 커질 수 있다.
2. 거래소 상장 부재: 현재까지 바이낸스나 코인베이스와 같은 주요 글로벌 거래소에는 상장되지 않은 상태다. 유동성 확보 및 가격 신뢰도 확보를 위해서는 이들 플랫폼에의 상장이 필수적이지만, 아직 가시적인 진척은 없다.
3. 마이닝 참여 대비 실제 활용성 부족: 수억 명의 사용자가 마이닝에 참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파이코인을 통한 결제, 앱, 디파이(DeFi) 등 실질적 용도로의 사용은 아직 미진하다. 생태계 내에서의 실사용이 뒷받침되지 않는 이상 가격 상승 또한 제한될 수밖에 없다.
현재 지표와 시장 위치
현재 파이코인은 약 0.213달러(약 287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약 17억 5,970만 달러(약 2조 3,730억 원)로 코인마켓캡 기준 전체 50위에 해당한다. 24시간 거래량은 약 1억 862만 달러(약 1,465억 원)를 기록했다.
유통량과 거래량 자체는 꾸준하게 유지되고 있으나, 개발과 채택 면에서 정량적인 개선 없이는 일시적인 반등 이후 재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장기적으로는 생태계의 실질적 활용성과 글로벌 유동성 확보가 파이코인의 미래 가치를 결정할 핵심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