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공매도 1,226억 원 차익…트럼프 관세 발표 직전 거래에 내부자 의혹

| 서지우 기자

미국 정부의 전격적인 대중 관세 발표 직전, 비트코인(BTC) 하락에 ‘올인’한 트레이더의 정체가 크립토 커뮤니티를 충격에 빠뜨렸다. 익명의 거래자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 발표 약 30분 전, 비트코인 공매도 포지션으로 약 8,800만 달러(약 1,226억 원)의 수익을 거뒀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내부자 거래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해당 트레이드는 분석가 비벡 센(Vivek Sen)에 의해 밝혀졌으며, 그는 X(구 트위터)를 통해 "이 계좌는 당일 개설됐으며 정확히 발표 직전에 대규모 공매도에 나섰다"고 주장했다. 그는 해당 트랜잭션 스크린샷과 함께 "이 계좌 주인은 어떻게 이런 사전 정보를 알았는가"라는 반응을 덧붙였다.

이 상황을 두고 친크립토 성향으로 알려진 변호사 존 디튼(John Deaton)은 “사실이라면 반드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하며 관련 게시물을 리트윗, 사안의 심각성을 제기했다. 특정인이 시장 정보에 접근해 수천억 원 상당의 수익을 낸 정황은, 암호화폐 시장의 투명성과 공정성에 직접적인 의문을 던진다.

이 사태는 단순한 개인 거래 이상의 파장을 불러왔다. 미국 정부가 발표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100% 관세 부과와 첨단 소프트웨어 수출 통제는 글로벌 경제에 긴장감을 조성했고, 암호화폐 시장도 예외는 아니었다. 발표 직후 비트코인 가격은 기존 고점이었던 약 12만 5,000달러(약 1억 7,375만 원)에서 12% 이상 급락, 11만 2,385달러(약 1억 5,624만 원)까지 떨어졌다.

이날 하루 동안 발생한 강제 청산 규모는 총 190억 달러(약 2조 6,410억 원)에 달했으며, 이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70억 달러(약 9,730억 원)는 불과 한 시간 내에 발생해, 역사상 가장 빠르고 큰 규모의 청산 중 하나로 기록됐다. 이번 급락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160만 명 이상의 트레이더가 손실을 입은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예측적 거래'가 사실일 경우,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다시 고개를 들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시장 참여자들은 향후 이처럼 극단적인 가격 변동에 대비한 리스크 관리와 함께, 정보 접근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개입도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비트코인은 현재까지도 하방 압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시장은 트럼프 정부의 추가 조치 가능성과 글로벌 규제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번 사안을 계기로 정보 비대칭성과 내부 정보 이용 문제에 대한 논의가 더욱 본격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