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부 셧다운, 암호화폐 ETF 심사 중단…英은 규제 완화 행보

| 서지우 기자

전 세계적으로 암호화폐 채택률이 높아지면서 각국 정부가 금융 시스템과 경제 안정성에 미칠 영향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분주하다. 이번 주에도 글로벌 주요국에서 암호화폐 산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정책 변화가 잇따랐으며, 이는 혁신을 가로막거나, 반대로 뒷받침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정부 셧다운 사태로 인해 암호화폐 상장지수펀드(ETF) 검토가 전면 중단됐다. 공화당과 민주당이 예산안 합의에 실패하면서 10월 1일부로 연방정부가 셧다운에 돌입했다. 현재 의회는 예산 처리에 실패해 정부 활동이 사실상 마비됐으며, 이에 따라 증권거래위원회(SEC) 등 주요 연방 기관 역시 최소 인력만으로 필수 업무만 수행 중이다. 특히, 암호화폐 ETF와 관련된 심사와 승인 절차들은 후순위로 밀리며 일정이 무기한 연기됐다.

반면, 영국에서는 암호화폐 금용상품에 대한 규제 완화 조치가 시작됐다. 영국 정부는 암호화폐 기반 상장지수채권(ETN) 거래 금지를 해제했다. ETN은 투자자가 직접 코인을 보유하지 않고도 암호화폐 시장에 노출될 수 있도록 설계된 부채 상품이다. 영국 금융감독청(FCA)은 “현재 시장은 적절한 성숙도를 갖췄으며, 투자자 보호 장치를 갖춘 상황에서 제한적 투자 접근은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이 밖에도 여러 국가에서 자국 내 디지털 자산의 정의와 분류 체계 마련에 주력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의 국부펀드는 비트코인(BTC)이나 이더리움(ETH) 등 대표 암호화폐에 직접 투자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제사회는 점차 암호화폐를 제도권 자산으로 편입하려는 시그널을 보내고 있다.

이번 주 전 세계 정책 변화는 구체적인 제도 도입이나 규제 완화, 입법 지연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암호화폐 시장의 제도화 흐름은 더욱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각국 정책의 방향성에 따라 민간 투자자 보호와 산업 혁신 간 균형이 핵심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