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포렉스 전 CEO, $BTC 공매도·내부자 거래 의혹 전면 부인…트럼프 관세 직전 거래 논란

| 서지우 기자

가렛 진(Garrett Jin) 전 비트포렉스(BitForex) CEO가 최근 자신을 둘러싼 시장 조작 및 내부자 거래 의혹을 전면 반박하며 입장을 밝혔다. 익명의 온체인 분석가인 Eye는 진이 비트코인(BTC)을 공매도한 대형 지갑 주소의 소유자라고 주장해 파장을 일으켰다.

Eye는 지난 주말, 진이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에서 10만 개 이상의 BTC를 컨트롤하는 고래 지갑을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해당 지갑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100% 관세”를 발표하기 약 한 시간 전에 대규모 공매도 포지션을 개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발표 직후 BTC 가격은 일시적으로 102,000달러(약 1억 4,178만 원)까지 급락했다.

이에 대해 진은 X(구 트위터)를 통해 "나는 트럼프 가족과 전혀 관련이 없다"고 강조하며, 내부자 거래 혐의를 강하게 부인했다. 그는 문제의 지갑이 "내 고객의 것"이라고 해명하며 책임을 부정했고, 바이낸스 전 CEO 창펑 자오(Changpeng Zhao)가 Eye의 주장을 리트윗한 것을 두고 "개인 정보를 부적절하게 유포했다"고 비판했다.

문제가 된 지갑을 이용해 BTC 공매도 포지션에 투입된 총액은 약 7억 3,500만 달러(약 1조 234억 원)로 추산된다. 일시적으로 시장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요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중국에 대해 걱정하지 마라"고 발언하며 진화를 시도했지만, 이미 급락한 시장은 혼란에 빠졌다.

논란은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익명의 제보자 Eye의 주장에 대해 일부 온체인 분석가들은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유명 블록체인 분석가 잭엑스비티(ZachXBT)는 “진이 아닌 주변 인물이 관련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했고, 크립토 애널리스트 퀸튼 프랑수아(Quinten Francois)도 “진과 지갑 주소 사이의 연결고리는 너무 작위적”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암호화폐 생태계에서는 특정 인물이 코인 상장이나 주요 발표 직전 매매 포지션을 취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면서 내부자 거래 논란이 반복되고 있다. 이번 사안 역시 철저한 조사와 투명한 정보 공개를 통해 실체가 밝혀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