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금융당국이 바이낸스를 포함한 암호화폐 거래소들을 상대로 자금세탁방지(AML) 규정 준수 여부에 대한 추가 조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프랑스가 유럽 전역에 통일된 암호화폐 규제안을 정립한 MiCA(Markets in Crypto-Assets Regulation) 체제 내에서 자국 감독 권한 강화를 추진하는 흐름과 맞물려 있다는 분석이다.
블룸버그는 17일(현지시간) 복수의 익명 소식을 인용해, 프랑스 금융감독청인 건전성감독청(ACPR)이 바이낸스를 비롯한 수십 개 암호화폐 거래소들에 대해 자금세탁방지(AML)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 조사는 2023년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기밀로 유지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ACPR은 지난해 바이낸스에 리스크 통제 강화를 지시했다. 이에 대해 바이낸스는 코인텔레그래프의 논평 요청에 공식 대응하지 않았지만, 블룸버그에 따르면 거래소 측은 “현장 점검은 규제를 받는 기관에게 통상적으로 이뤄지는 감독 절차의 일환”이라고 해명했다.
ACPR의 이번 조사는 자금세탁방지(AML) 및 테러자금조달방지(CFT) 의무 이행 여부를 집중적으로 점검하는 데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지난해 이뤄진 검토 결과로 바이낸스는 전반적인 컴플라이언스와 리스크 통제를 강화하라는 요구를 받은 바 있다.
통상적으로 이 같은 점검 이후, 기업들은 몇 개월 간의 시정 기간이 주어지며, 이 기간 동안 컴플라이언스 및 정보보안 인력 보강을 통해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사이버 보안 체계 및 내부통제 시스템을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절차가 뒤따른다.
프랑스의 이 같은 움직임은 MiCA 체제 내 실질적 감독 주도권 확보를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유럽연합(EU)이 암호화폐 전담 규제를 정비한 가운데, 파리 금융당국은 주요 거래소들에 대한 감독 역량을 부각시키며 주도권 확보에 나선 형국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