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갱신 일지] 오픈버스, 신고가 부근 강세…16개 종목은 연중 최저가 경신

| 손정환 기자

최고가(ATH) 갱신 종목

① 오픈버스(BTG)
현재가 14.95달러 | ATH 15.04달러 (–0.62%)

오픈버스가 최근 신고가 부근에서 거래되며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단기 조정 폭이 1% 미만에 그치며 매수세가 견조하게 유지되는 모습이다. 특히 지난 10월 초 기록한 최저가(5.12달러) 대비 약 192% 상승해 시장 내 회복 탄력을 입증했다.

최저가(ATL) 경신 종목

① 심볼(XYM) 현재가 0.00471달러 | ATL 0.00467달러 (+0.79%)
② 스타아틀라스(ATLAS) 현재가 0.000532달러 | ATL 0.000521달러 (+2.19%)
③ 엔소(ENSO) 현재가 1.51달러 | ATL 1.50달러 (+0.19%)
④ 퍼퍼파이낸스(PUFFER) 현재가 0.0858달러 | ATL 0.0856달러 (+0.20%)
⑤ 슬러프(SLERF) 현재가 0.0368달러 | ATL 0.0367달러 (+0.16%)

이 외에도 ▲크립토 트레이딩 펀드(CTF) ▲제로베이스(ZBT) ▲핀링크(PIN) ▲일드베이시스(YB) ▲블랙홀(BLACK) ▲로어(R0AR) ▲이더렉스(REX) ▲BNB 어텐션 서비스(BAS) ▲애니스펜드(ANY) ▲레퓨지(RFG) ▲하일로레버리지솔(xSOL)이 신고점을 갱신했다.

전체 16개 종목이 연중 최저가를 새로 경신하며 시장의 약세 기조를 재확인했다. 다만 다수 종목이 0.1~2% 수준의 미세한 변동에 그치며 투매보다는 저가권에서의 바닥 다지기 양상이 이어지고 있다.

시가총액 TOP 5 종목

① 비트코인(BTC)
현재가 108,306달러 | ATH 126,038달러 (–14.1%)

② 이더리움(ETH)
현재가 3,864달러 | ATH 4,948달러 (–21.9%)

③ 바이낸스코인(BNB)
현재가 1,067달러 | ATH 1,369달러 (–22.1%)

④ XRP(XRP)
현재가 2.42달러 | ATH 3.84달러 (–36.9%)

⑤ 솔라나(SOL)
현재가 186.74달러 | ATH 293.65달러 (–36.4%)

상위 5대 자산 모두 올해 고점 대비 조정을 받았지만, 장기 저점 대비 폭발적인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은 10만 달러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시가총액 1위의 저력을 입증했다. 이더리움과 바이낸스코인은 상대적으로 완만한 조정세 속에서도 견조한 네트워크 수요를 유지 중이며, 리플과 솔라나는 최근 거래량 확대와 함께 기술적 반등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실시간 국내 트렌딩 종목

이미지(시가총액순) / 설명 데이터(코인마켓캡 기준 국내 인기순)

① 신퓨처스(F)
현재가 0.0131달러 | ATH 0.306달러 (–95.7%) | ATL 0.00620달러 (+110.7%)

② 리콜(RECALL)
현재가 0.341달러 | ATH 0.824달러 (–58.7%) | ATL 0.270달러 (+26.2%)

③ 노미나(NOM)
현재가 0.0218달러 | ATH 0.0477달러 (–54.3%) | ATL 0.00879달러 (+147.9%)

④ 시그마닷머니(SIGMA)
현재가 0.00662달러 | ATH 0.165달러 (–96%) | ATL 0.00377달러 (+75.7%)

⑤ 조라(ZORA)
현재가 0.0972달러 | ATH 0.145달러 (–33.1%) | ATL 0.00781달러 (+1,145%)

최근 5개 주요 종목은 모두 단기 저점 대비 강한 회복세를 보이며 기술적 반등 국면에 진입했다. 특히 조라와 노미나는 저점 대비 각각 10배 이상 상승하며 유동성 회복의 중심에 섰다. 신퓨처스와 리콜 역시 거래량 증가와 함께 회복 탄력을 키우는 모습이다. 국내 투자자들은 이러한 저가 매수 구간에서 단기 반등보다는 구조적 거래 회복 여부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편집자주] 암호화폐 시장은 하루 새 고점과 저점이 빠르게 바뀌는 고변동성 환경이다. 역대 최고가(ATH)와 역대 최저가(ATL) 경신 종목을 추적하면 강세와 약세 흐름을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크립토랭크 기준 시가총액 1000만 달러 이상 종목 중 하루 사이 고점 또는 저점을 경신한 주요 토큰을 정리하고 시가총액 상위 종목과 실시간 국내 인기 자산의 고점 대비 조정률을 함께 분석해 시장 회복 여력과 흐름을 진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