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갱신 일지] 이바·크립톡 신고점…다이아몬드 런치 신저점 경신

| 손정환 기자

최고가(ATH) 갱신 종목

① 이바 프로토콜(EVAA)
현재가 13.39달러 | ATH 13.61달러 (–1.64%)

② 717ai 바이 버추얼스(WIRE)
현재가 0.0191달러 | ATH 0.0199달러 (–4.38%)

③ 템 마켓(TEM)
현재가 0.0773달러 | ATH 0.0777달러 (–0.47%)

④ 크립톡(TALK)
현재가 79.80달러 | ATH 4419달러 (–98.2%)

⑤ 페이AI(PAYAI)
현재가 0.0448달러 | ATH 0.0477달러 (–6.20%)

이 외에도 ▲다크스타(DARK) ▲유체인(UCN) ▲하이로 레버리지 솔(xSOL) ▲벤트웰러스 브이하이프(vHYPE) ▲이더파이 리퀴드ETH(LIQUIDETH) ▲하이퍼비트LST볼트(LSTHYPE)까지 11개 종목이 신고점을 경신했다. 크립톡(TALK)은 98% 급락에도 불구하고 고점 갱신 직후의 높은 변동성을 보여 단기 트레이더 중심의 과열세가 엿보인다. 반면 EVAA와 TEM 등은 기술적 강세를 유지하며 시장 내 지속 성장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다.

최저가(ATL) 경신 종목

① 다이아몬드 런치(DLC)
현재가 0.0185달러 | ATL 0.0179달러 (+3.02%)

이날 DLC 1개 종목이 신저점을 경신했다. 다이아몬드 런치는 전고점(ATH) 대비 99% 이상 하락하며 극단적인 조정을 거친 뒤 최근 소폭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장기 하락 후 기술적 저점을 통과한 흐름으로 거래량 회복 여부가 향후 단기 추세 반전의 핵심 변수로 꼽힌다.

시가총액 TOP 5 종목

① 비트코인(BTC)
현재가 114948달러 | ATH 126038달러 (–8.8%)

② 이더리움(ETH)
현재가 4173달러 | ATH 4948달러 (–15.7%)

③ 바이낸스코인(BNB)
현재가 1139달러 | ATH 1369달러 (–16.8%)

④ XRP(XRP)
현재가 2.65달러 | ATH 3.84달러 (–30.9%)

⑤ 솔라나(SOL)
현재가 203.88달러 | ATH 293.65달러 (–30.6%)

주요 시가총액 상위 5개 자산이 일제히 조정 구간에 진입했다. 최근 단기 반등 이후에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포함한 대형 종목들은 각각 10~30%가량 고점 대비 하락한 상태다. 특히 알트코인 중에서는 리플과 솔라나의 낙폭이 상대적으로 커 시장 내 위험회피 심리가 여전함을 보여준다. 반면 비트코인은 11만 달러대에서 견조한 지지세를 유지하며 중장기 강세 국면으로의 전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실시간 국내 트렌딩 종목

이미지(시가총액순) / 설명 데이터(코인마켓캡 기준 국내 인기순)

① 스토리 프로토콜(IP)
현재가 5.51달러 | ATH 14.74달러 (–62.6%) | ATL 1.38달러 (+298.4%)

② 체인오페라 AI(COAI)
현재가 5.53달러 | ATH 38.45달러 (–85.6%) | ATL 0.138달러 (+3908%)

③ 엑스핀 네트워크(XPIN)
현재가 0.00803달러 | ATH 0.00999달러 (–19.6%) | ATL 0.000523달러 (+1436%)

④ 바운스 토큰(AUCTION)
현재가 7.37달러 | ATH 70.77달러 (–89.6%) | ATL 3.15달러 (+133.7%)

⑤ 아스트라 노바(RVV)
현재가 0.0130달러 | ATH 0.0204달러 (–36.4%) | ATL 0.00736달러 (+76.1%)

국내 실시간 트렌드 종목을 보면 체인오페라 AI와 스토리 프로토콜 등이 재평가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XPIN과 아스트라 노바 등은 단기 거래량 급증으로 투기적 수요가 몰리는 양상이다. 바운스 토큰은 장기 하락 후 제한적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편집자주] 암호화폐 시장은 하루 새 고점과 저점이 빠르게 바뀌는 고변동성 환경이다. 역대 최고가(ATH)와 역대 최저가(ATL) 경신 종목을 추적하면 강세와 약세 흐름을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크립토랭크 기준 시가총액 1000만 달러 이상 종목 중 하루 사이 고점 또는 저점을 경신한 주요 토큰을 정리하고 시가총액 상위 종목과 실시간 국내 인기 자산의 고점 대비 조정률을 함께 분석해 시장 회복 여력과 흐름을 진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