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해진 암호화폐 과세… 자동 세금 신고 소프트웨어 수요 급증

| 서지우 기자

암호화폐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전 세계 과세 당국도 이 시장을 본격적인 과세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특히 국가별 암호화폐 세금 규정이 정교하게 다듬어지고 있는 가운데, 복잡한 거래 내역과 다양한 거래소 및 지갑을 사용하는 투자자들은 세금 신고 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크립토 세금 계산 소프트웨어가 투자자들의 필수 도구로 떠오르고 있다.

각국의 규제를 살펴보면, 미국 국세청(IRS)은 암호화폐를 자산으로 분류해 주식처럼 양도소득세를 적용하고 있으며, 오는 2025년 1월부터는 디지털자산 세금 보고서인 양식 1099-DA 도입을 통해 거래소보고 의무를 대폭 강화한다. 2026년부터는 거래소가 구매 원가(cost basis)까지 보고해야 해, 이용자 입장에서는 더 정교한 세금 관리가 요구된다. 영국은 특정 금액 이상 암호화폐를 거래한 경우 과세 대상이 되며, 일본은 이를 ‘기타소득’으로 봐 비교적 높은 세율을 적용하고 있다. 나이지리아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아프리카 국가들도 단계적 과세 제도를 도입 중이다.

이처럼 복잡한 과세 환경 속에서 암호화폐 세금 소프트웨어는 거래 내역 통합, 자동 계산, 세금 보고서 작성 기능 등을 통해 투자자의 신고 부담을 크게 줄여준다. 대표적 사례로는 ‘코인리(Koinly)’, ‘코인레저(CoinLedger)’, ‘크립토택스계산기(CryptoTaxCalculator)’ 등이 있으며 이들 플랫폼은 고급 거래 기능, 회계 툴과의 연동, 실시간 포트폴리오 추적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AI 기반 거래 누락 탐지, 자동 손실이월(wash trading) 감지 기능은 정확성을 극대화한다.

2025년 이후 가장 큰 변화는 IRS의 지갑별(cost basis per wallet) 추적 방식 전환이다. 이는 ‘통합 풀 방식’ 대신 거래소·지갑 단위로 세금 계산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4월 서명한 법안에 따라 디파이 플랫폼의 일부 브로커 요건은 폐지돼, P2P 거래 사용자에게는 일부 보고 의무가 완화됐다.

한편, 소프트웨어 선택 시에는 ▲거주 국가 세법 반영 여부 ▲사용 중인 거래소·지갑과의 연동 가능성 ▲강력한 보안 기능 ▲각종 암호화폐 거래 유형 지원 여부 ▲세무회계 툴과의 연동 ▲AI 기반 오류 탐지 여부 등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좋다. 초보 투자자는 간단한 CSV 업로드 기능이 있는 도구를, 다수 거래소를 활용하는 고빈도 트레이더는 고급 분석 기능이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Koinly는 20개국 이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며 700개 이상의 거래소 및 블록체인과 연결되는 자동화 기능을 갖췄다. CoinLedger는 디파이·NFT 거래 등 고도화된 기능을 지원하며, 손실 처리와 CPA 보고서까지 포괄한다. TokenTax는 고액 거래자와 법인 대상 맞춤형 세무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회계사 연계도 가능해 전문가 수요가 높다. 이 외에도 CoinTracker는 실시간 포트폴리오 관리 기능이 뛰어나고, CryptoTaxCalculator는 복잡한 거래와 오래된 데이터까지 가공 가능한 점이 강점이다.

물론, 수동 세금 보고 역시 장점이 없지는 않다. 비용 절감과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지만, 거래 기록이 많을 경우 오류 가능성과 시간 소모는 불가피하다. 이에 비해 소프트웨어는 전문지식 없이도 세금 신고가 가능하고, 실시간 분석을 통해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결국, 소프트웨어의 선택 여부는 본인의 투자 활동 수준, 세금 리스크 감수 가능성, 데이터 관리 능력 등에 달려 있다. 특히 미국, 유럽 등 규제 강화가 예상되는 지역 투자자라면 자동화 솔루션을 통한 대비가 필수적이다. 암호화폐 시장의 성숙과 더불어, 이제는 세금 대응 전략도 투자 전략만큼이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