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SOL)가 혼조세 속에서도 사상 두 번째로 높은 주간 자금 유입을 기록하며 시장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매파적 발언으로 비트코인(BTC) 투자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일부 투자자들은 알트코인으로 자금을 이동한 것으로 분석된다.
코인셰어스(CoinShares)에 따르면, 지난주 전 세계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에는 총 3억 6,000만 달러(약 5,036억 원)의 순유출이 발생했다.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이 직접적인 금리 인하 기대를 꺾었다는 점이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비트코인 기반 미국 상장 ETF에서는 9억 4,600만 달러(약 1조 3,239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자금이 빠져나가며 전체 매도세를 이끌었다.
하지만 솔라나는 오히려 4억 2,100만 달러(약 5,892억 원)의 자금 유입을 기록하며 돋보였다. 이는 신설된 미국 ETF와 관련된 유입에 힘입은 것으로, 올해 들어 누적 유입액은 33억 달러(약 4조 6,161억 원)에 달한다. 이는 솔라나 투자 심리가 계속해서 강세를 보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더리움(ETH) 또한 5,760만 달러(약 806억 원) 순유입을 기록했지만, 일별 흐름은 아직 확신을 주지 못하는 모습이다. 리플(XRP)이 4,320만 달러(약 605억 원), 수이(SUI) 940만 달러(약 132억 원), 라이트코인(LTC)이 150만 달러(약 21억 원), 에이다(ADA)가 70만 달러(약 10억 원), 체인링크(LINK)가 50만 달러(약 7억 원)를 각각 끌어모았다.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방식의 멀티 자산 ETP는 830만 달러(약 116억 원) 순유입을 기록했다.
국가별로 미국은 순유출의 진원지였다. 미국 상장 펀드는 4억 3,900만 달러(약 6,143억 원)의 순유출을 보였고, 스웨덴도 1,100만 달러(약 154억 원) 자금을 잃었다. 반면 독일은 3,200만 달러(약 448억 원), 스위스는 3,080만 달러(약 431억 원)의 순유입을 기록하며 지역별 온도차를 보였다. 캐나다와 호주, 브라질 역시 각각 소폭의 순유입을 보이며 분위기를 상쇄했다.
11월 암호화폐 시장은 여전히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은 현재 10만 달러(약 1억 4,000만 원) 수준을 180일 이상 지키고 있지만, 상승 동력을 이어갈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이 커졌다. 분석업체 스위스블록(Swissblock)은 현재 가격대가 심리적 저항선을 넘어 ‘구조적 지지’로 작용하고 있다며, 하방이 붕괴될 경우 뚜렷한 지지선이 없다고 경고했다.
최근의 투자 흐름은 일부 알트코인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히 유효함을 보여준다. 특히 솔라나는 기관 자금의 안정적인 유입을 확보하면서 비트코인의 약세 속에서도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해가는 모양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