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가격을 의도적으로 부풀려 부당 이득을 챙긴 혐의를 받는 이들이 금융위원회에 의해 수사기관에 고발됐다. 조작 규모는 수백억 원대에 달하며, 관련자들은 여러 차례에 걸쳐 시세를 조종한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위원회는 11월 5일 제19차 정례회의를 열고 두 건의 가상자산 시세조작 사건과 관련된 혐의자들을 수사기관에 고발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해당 사건들은 금융감독원이 가상자산 시장을 상시 모니터링하는 과정에서 이상거래로 포착돼 조사가 시작된 것으로 전해졌다.
주요 사례 중 하나에서는 혐의자들이 특정 가상자산을 사전 매수한 뒤, 미리 매도 주문까지 내놓고 수백억 원 이상을 투입해 시세를 자신들이 원하는 가격까지 인위적으로 끌어올렸다. 이후 일반 투자자들이 이를 추종매매(가격 상승 기대심리에 따른 매수)에 나서면서 가격이 오르면, 준비한 매도 주문이 자동으로 체결돼 이들은 수익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행위는 반복적으로 이뤄졌고, 누적 수익은 수십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다른 사례에서는 여러 명이 조직적으로 움직였다. 특정 종목을 선정하는 역할과 자동매매 프로그램(API)을 이용해 거래가 활발한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역할이 분담됐으며, 고가 매수 주문을 반복하거나 거래 체결 횟수를 부풀리는 등 시세 견인 효과를 유도한 정황이 포착됐다. 혐의자들은 이 과정을 통해 수억 원 상당의 부당 수익을 챙긴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위원회는 유동성이 낮은 가상자산의 경우 가격이 특별한 이유 없이 급등하면 이후 급락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투자자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이러한 시세 조작이 정교하고 조직적으로 이뤄지는 만큼, 거래소 차원의 모니터링과 이용자의 경각심이 함께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앞으로도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가상자산 시장의 불공정 거래에 대해 상시 감시체계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거래소와의 협력을 통해 주문 제출 단계에서부터 이상 거래 포착, 조사 및 심리 절차 전반에 걸쳐 감시를 강화하고 있으며, 혐의가 확인될 경우 즉각적으로 수사기관에 통보하거나 자체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이 같은 흐름은 국내에서도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제도적 감시가 점차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부의 단속 강화가 투자 환경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는 기대와 함께, 관련 법규와 규제 체계 정비 속도가 시장 신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