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가(ATH) 갱신 종목
① 코카(COCA)
현재가 0.698달러 | ATH 0.713달러 (–2.12%)
② 마리나 프로토콜(BAY)
현재가 0.128달러 | ATH 0.128달러 (+0.29%)
③ 유체인(UCN)
현재가 1.485달러 | ATH 1.485달러 (–0.001%)
④ 오디에라(BEAT)
현재가 0.138달러 | ATH 0.139달러 (–0.47%)
⑤ 서지(SURGE)
현재가 0.0201달러 | ATH 0.0202달러 (–0.40%)
6일 기준 주요 알트코인 5종목이 신고점을 경신했다. 코카(COCA), 마리나 프로토콜(BAY), 유체인(UCN), 오디에라(BEAT), 서지(SURGE) 모두 단기 급등세를 보이며 연중 최고가를 새로 기록했다. 특히 유체인은 25달러대의 과거 최저가 대비 5700% 이상 상승하며 강한 반등 흐름을 이어갔다.
최저가(ATL) 경신 종목
① 오키드(OXT)
현재가 0.0315달러 | ATL 0.0298달러 (+5.49%)
② 리콜(RECALL)
현재가 0.203달러 | ATL 0.202달러 (+0.18%)
③ 인튜이션(TRUST)
현재가 0.213달러 | ATL 0.187달러 (+13.8%)
④ 모카버스(MOCA)
현재가 0.0402달러 | ATL 0.0401달러 (+0.10%)
⑤ 핑퐁(PINGPONG)
현재가 0.0452달러 | ATL 0.0371달러 (+21.7%)
알트코인 5종목이 신저점(ATL)을 새로 경신했다. 오키드(OXT), 리콜(RECALL), 인튜이션(TRUST), 모카버스(MOCA), 핑퐁(PINGPONG)이 모두 최저가 부근에서 반등세를 보이며 저점 매수세 유입 가능성을 시사했다. 특히 인튜이션과 핑퐁은 각각 13.8%, 21.7% 상승하며 단기 기술적 회복 흐름을 나타냈다.
시가총액 TOP 5 종목
① 비트코인(BTC)
현재가 103343달러 | ATH 126038달러 (–18%)
② 이더리움(ETH)
현재가 3389달러 | ATH 4948달러 (–31.5%)
③ XRP(XRP)
현재가 2.32달러 | ATH 3.84달러 (–39.5%)
④ BNB(BNB)
현재가 950.64달러 | ATH 1369달러 (–30.6%)
⑤ 솔라나(SOL)
현재가 159.16달러 | ATH 293.65달러 (–45.8%)
주요 상위 5개 자산이 모두 올해 고점 대비 조정을 받고 있다. 비트코인은 12만 달러대 고점에서 약 18% 하락했으며, 이더리움과 솔라나는 각각 31%, 45%의 낙폭을 기록했다. 다만 전 종목이 장기 저점 대비 수만 퍼센트 상승세를 유지하며, 강한 중장기 상승 추세 내 일시적 조정 국면으로 해석된다.
실시간 국내 트렌딩 종목
① 0G 랩스(0G) 현재가 1.04달러
ATH 7.04달러 (–85.3%) | ATL 0.98달러 (+5.78%)
② UX링크(UXLINK) 현재가 0.0397달러
ATH 3.73달러 (–98.9%) | ATL 0.0361달러 (+9.99%)
③ 지캐시(ZEC) 현재가 509.29달러
ATH 5942달러 (–91.4%) | ATL 16.13달러 (+3057%)
④ 엔소(ENSO) 현재가 1.06달러
ATH 3.95달러 (–73.1%) | ATL 0.94달러 (+13%)
⑤ 버추얼스 프로토콜(VIRTUAL) 현재가 1.31달러
ATH 5.07달러 (–74.2%) | ATL 0.02달러 (+6445%)
국내 트렌딩 상위 알트코인들은 전반적으로 고점 대비 큰 폭의 조정을 받은 가운데, 저점에서는 강한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버추얼스 프로토콜(VIRTUAL)과 지캐시(ZEC)는 각각 6400%, 3000% 이상 상승하며 장기 바닥 구간에서의 복원력을 입증했다. 단기 조정세 속에서도 실질 유동성과 거래 관심이 유지되며, 국내 투자자들의 단기 모멘텀 종목으로 주목받는 모습이다.
[편집자주] 암호화폐 시장은 하루 새 고점과 저점이 빠르게 바뀌는 고변동성 환경이다. 역대 최고가(ATH)와 역대 최저가(ATL) 경신 종목을 추적하면 강세와 약세 흐름을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크립토랭크 기준 시가총액 1000만 달러 이상 종목 중 하루 사이 고점 또는 저점을 경신한 주요 토큰을 정리하고 시가총액 상위 종목과 실시간 국내 인기 자산의 고점 대비 조정률을 함께 분석해 시장 회복 여력과 흐름을 진단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