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가(ATH) 갱신 종목
① 디에이전트AI(AIA)
현재가 11.71달러 | ATH 11.42달러 (+2.56%)
② 코카(COCA)
현재가 0.709달러 | ATH 0.715달러 (–0.91%)
③ USDA(USDA)
현재가 0.999달러 | ATH 1.03달러 (–2.88%)
④ 아비치(AVICI)
현재가 2.84달러 | ATH 3.04달러 (–6.52%)
⑤ 불리쉬디젠(BULLISH)
현재가 0.0179달러 | ATH 0.0192달러 (–6.63%)
이 외에도 ▲토월렛(TITN)까지 6개 종목이 신고점을 경신했다. 상위권 대부분이 최근 한 달 내 신고점을 새로 쓰며 단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디에이전트AI는 저점 대비 4600% 이상 급등하며 AI 섹터 강세를 주도했고 코카·USDA 등은 안정적 흐름 속 점진적 회복세를 나타냈다.
최저가(ATL) 경신 종목
① 맵프로토콜(MAPO)
현재가 0.00372달러 | ATL 0.00372달러 (+0.04%)
② 알리시아AI(ALI)
현재가 0.00315달러 | ATL 0.00309달러 (+1.92%)
③ 게임즈포어리빙(GFAL)
현재가 0.00223달러 | ATL 0.00223달러 (–0.01%)
④ 넷마인드AI(NMT)
현재가 0.188달러 | ATL 0.187달러 (+0.93%)
⑤ 제우스네트워크(ZEUS)
현재가 0.0433달러 | ATL 0.0426달러 (+1.80%)
이 외에도 ▲유엑스링크(UXLINK) ▲유니콘파트더스트(UFD) ▲캡스AI(CAPX) 등이 집계됐다. 전체 8개 종목이 신저점을 경신했다. AI 관련 종목 전반이 단기 조정을 이어가며 저점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다. 특히 넷마인드AI와 제우스네트워크는 반등 신호를 보이며 단기 매수세 유입이 관찰되고 있다.
시가총액 TOP 5 종목
① 비트코인(BTC)
현재가 101887달러 | ATH 126038달러 (–19.2%)
② 이더리움(ETH)
현재가 3343달러 | ATH 4948달러 (–32.4%)
③ XRP(XRP)
현재가 2.23달러 | ATH 3.84달러 (–42.1%)
④ BNB(BNB)
현재가 965.29달러 | ATH 1369달러 (–29.5%)
⑤ 솔라나(SOL)
현재가 156.77달러 | ATH 293.65달러 (–46.6%)
상위 5개 종목 모두 연중 고점 대비 조정을 거치며 단기 변동성을 확대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10만 달러대를 유지하며 안정적 흐름을 보이는 반면, 이더리움과 솔라나는 낙폭이 다소 깊어졌다. 시장 전반에서는 고평가 구간에서의 차익 실현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으며, 중기적 관점에서는 재매수 구간 진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실시간 국내 트렌딩 종목
① 리졸브(RESOLV) 현재가 0.0685달러
ATH 104.06달러 (–99.9%) | ATL 0.0341달러 (+101.1%)
② USD코인(USDC) 현재가 1.000달러
ATH 1.29달러 (–22.6%) | ATL 0.831달러 (+20.3%)
③ 지캐시(ZEC) 현재가 578.64달러
ATH 5942달러 (–90.3%) | ATL 16.13달러 (+3487%)
④ 미나프로토콜(MINA) 현재가 0.182달러
ATH 6.51달러 (–97.2%) | ATL 0.0676달러 (+169%)
⑤ 휴머니티프로토콜(H) 현재가 0.116달러
ATH 0.389달러 (–70.1%) | ATL 0.0181달러 (+543.6%)
최근 국내 투자자 관심이 높은 상위 5개 종목은 전반적으로 고점 대비 급락한 상태에서 저점 반등세를 모색하고 있다. 특히 리졸브와 미나프로토콜은 낙폭이 가장 컸던 만큼 단기 회복세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으며, 휴머니티프로토콜 역시 신규 진입 자금 유입이 확인되고 있다. 안정성이 높은 USD코인과 달리 지캐시는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커 중단기 투자자들 사이에서 매수 타이밍을 둘러싼 의견이 엇갈리는 모습이다.
[편집자주] 암호화폐 시장은 하루 새 고점과 저점이 빠르게 바뀌는 고변동성 환경이다. 역대 최고가(ATH)와 역대 최저가(ATL) 경신 종목을 추적하면 강세와 약세 흐름을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크립토랭크 기준 시가총액 1000만 달러 이상 종목 중 하루 사이 고점 또는 저점을 경신한 주요 토큰을 정리하고 시가총액 상위 종목과 실시간 국내 인기 자산의 고점 대비 조정률을 함께 분석해 시장 회복 여력과 흐름을 진단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