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 시장이 기술 성장과 펀드 유입이 맞물린 반등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헤미네트워크·소프트뱅크·풀즈가 각 부문 대표 프로젝트로 부상했다.
10일 기준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암호화폐 프로젝트는 총 3649개이며 이 중 상승 중인 프로젝트는 948개, 하락 중인 프로젝트는 407개로 집계됐다.
주요 인기 프로젝트는 ▲인터넷컴퓨터(ICP, 1억7300만 달러) ▲세이(SEI, 1500만 달러) ▲솔라나(SOL, 2560만 달러) ▲페치.ai(FET, 1300만 달러) 등으로 나타났다.
상승률 상위 프로젝트는 ▲KAI 배틀오브쓰리킹덤즈(+183.0%) ▲게임GPT(+86.3%) ▲COTI(+61.6%) ▲알케미스트(+57.6%) ▲크립토오토스(+39.2%) 등이 확인됐다.
이날 오늘의 프로젝트에는 헤미네트워크가 선정됐으며 투자수익률(ROI)은 6.35배로 집계됐다.
또한 32개 카테고리 중 마켓플레이스 부문이 '오늘의 섹터'로 선정됐으며 해당 부문의 평균 수익률은 2.11배로 기록됐다.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크립토 펀드는 총 417개이며, 이 중 상승세를 보인 펀드는 327개, 하락세를 보인 펀드는 86개로 집계됐다.
주요 인기 펀드는 ▲바이낸스 랩스(2.42배) ▲코인베이스 벤처스(2.02배) ▲판테라 캐피털(1.47배) ▲a16z(5.27배) 순으로 확인됐다.
상승률 상위 펀드는 ▲메이어캐피털(+34.1%) ▲웨이브파이낸셜(+15.2%) ▲비고린캐피털(+10.4%) ▲DEC벤처스(+10.2%) ▲c펀드(+8.83%) ▲엘립티(+8.54%) ▲뉴웨이브캐피털(+8.4%) ▲트윈에이펙스캐피털(+7.91%)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오늘의 펀드에는 소프트뱅크가 선정됐으며 투자수익률(ROI)은 6.35배로 기록됐다.
펀드 종목 중 ▲더샌드박스(+2.55%) ▲FTX(+1.4%)가 상승세를 보였으며, ▲폴리곤(–10.5%)은 하락세를 기록했다.
소프트뱅크의 최근 투자 사례는 ▲팬텀(1000만 달러) ▲아치파이낸스(500만 달러) ▲인프스톤즈(6600만 달러) ▲트라이벌(2270만 달러) ▲서틱(6000만 달러)로 확인됐다.
오늘의 플랫폼 '풀즈'
등록된 론치패드 플랫폼은 총 118개이며, 이 중 상승세를 보인 플랫폼은 80개, 하락세를 보인 플랫폼은 25개로 집계됐다. 평균 ROI는 0.9배, 평균 최고 수익률(ATH ROI)은 22.6배, 평균 스테이킹 금액은 13.11달러로 나타났다.
ROI 기준 상위 플랫폼은 ▲OKX 월렛(42.2배) ▲바이낸스 월렛(17.5배) ▲코인리스트(11.0배) ▲토큰파이(6.7배) ▲바이낸스 런치패드(5.4배) ▲OKX 점프스타트(2.83배) ▲옥스불(2.02배) ▲PAID 이그니션(1.89배) ▲리전(1.57배) ▲엔진스타터(1.44배) 순으로 확인됐다.
시가총액 기준 상위 플랫폼은 ▲바이낸스 런치패드(1400억 달러) ▲바이낸스 월렛(1400억 달러) ▲OKX 점프스타트(26억9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날 오늘의 플랫폼에는 풀즈(Poolz)가 선정됐으며, 투자수익률(ROI)은 0.15배로 기록됐다. 평균 ROI는 0.15배, 평균 최고 수익률(ATH ROI)은 12.1배, 총 자금 모집액은 2760만 달러로 집계됐다.
최근 해당 플랫폼에서 출시된 프로젝트는 ▲아딕스(0.0배) ▲아터리체인(0.22배) ▲에이아이퀀트(0.25배) ▲펑크비즘(0.0배)으로 확인됐다.
24시간 기준 변동률은 ▲프렌드3(+30.3%) ▲풀즈파이낸스(+16.9%) ▲월드오브딥피언스(+16.0%) ▲감더리(+15.1%) ▲아이엑스스왑(+13.6%) ▲카본브라우저(+4.95%) ▲미디벌엠파이어스(+3.76%) ▲펜타곤게임즈(+3.53%) ▲폰드3네트워크(+2.59%) ▲하이퍼GPT(+1.05%) ▲센세이(+0.34%)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