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기업 보유주에 대한 약세장이 막바지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투자사 키니코스 어소시에이츠(Kynikos Associates)의 창업자 제임스 채노스는 스트레티지(Strategy, $MSTR)에 대한 공매도 포지션을 청산하고 비트코인에 대한 롱 포지션 역시 정리했다고 밝혔다.
채노스는 최근 X(구 트위터)를 통해 지난 금요일 장 시작과 함께 스트레티지에 대한 포지션을 정리했다고 전했다. 그는 "스트레티지 주가가 2025년 고점 대비 약 50% 하락했고, 기업의 시장 순자산가치(mNAV) 비율은 1.23배까지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mNAV가 1.25배 이하로 떨어진 것은 공매도 청산을 고려할만한 시점"이라며 "작년 7월만 해도 이 수치는 약 2배에 달했다"고 덧붙였다.
스트레티지는 현재 약 64만 1,205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한 미국 상장사로, 시가총액 기준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채노스는 스트레티지의 ‘암시적 프리미엄’—즉, 시가총액에서 비트코인 보유분 가치를 뺀 나머지 기업 평가액—이 작년 7월 기준 약 700억 달러(약 94조 원)였으나, 현재는 150억 달러(약 20조 원)까지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를 근거로 "이제는 기업이 보다 합리적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스트레티지가 주식을 추가 발행할 경우 mNAV의 추가 압축 가능성은 남아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비트코인 본드 컴퍼니’의 최고경영자 피에르 로샤르(Pierre Rochard)는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 보유 상장사의 약세장이 서서히 끝나가고 있다는 신호"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러한 포지션 정리는 반등의 신호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비트코인 시장이 조정을 거치는 가운데, 주요 기관 투자자들과 관련 상장사들의 포지션 변화는 향후 시장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 공매도 세력의 후퇴와 함께 스트레티지와 같은 비트코인 보유 기업 주가가 반등할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