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초창기 투자자들이 일부 보유량을 매도하고 상장지수펀드(ETF)로 포지션을 전환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세제 혜택과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주요 배경으로 지목된다.
클라우드 금융서비스 플랫폼 업홀드(Uphold)의 리서치 책임자 마르틴 히스보에크 박사는 12일, 장기 보유자들의 비트코인 매도 움직임에 대해 "여러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ETF 재매수를 통한 현 세법 상의 엄청난 절세 효과"라고 밝혔다. 특히 미국에서는 이러한 전략이 더욱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또 다른 원인으로 ‘혁신의 중심이 비트코인이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 자체’라는 인식 전환을 꼽았다. 히스보에크는 “블록체인은 모든 산업에 응용되며,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프로젝트들이 많다"고 강조하며 "비트코인은 아직까지 광범위한 실사용 사례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런 흐름은 최근 실제 거래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비트코인 초기 차익거래 참여자였던 오언 군덴은 최근 1만 1,000개의 비트코인을 거래소로 이전했으며, 이 중 3,549개는 지난 일요일 최종 이체됐다고 온체인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Lookonchain)이 전했다.
이처럼 장기 보유자들조차 비트코인의 절대적인 가치보다 블록체인 기반의 확장 가능성에 주목하면서, 자산 재배분 움직임이 더욱 가속화되는 양상이다. ETF라는 제도적 틀 속에서의 전략 전환이 암호화폐 시장에 어떤 추가적인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