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3,200달러(약 430만 원) 선에서 반등하며 하락세의 진정 신호를 보이고 있다. 주요 저항선을 근접 테스트하고 있지만, 기술적 지표와 온체인 흐름은 대형 투자자의 저가 매수 움직임을 시사한다.
최근 ETH는 가격이 장기 하락 채널의 하단과 200일 이동평균이 교차하는 지지 구간에서 급반등했다. 이 구간은 유의미한 수급 매칭 지점으로 작용했으며, 대규모 유동성 소화를 통한 강한 매수세가 포착됐다. 일봉 기준으로는 3,600~3,700달러(약 480만~490만 원)대가 단기 저항 구간으로 자리잡고 있다. 만약 이 구간을 상방 돌파하는 데 성공한다면, 구조적 추세 반전 가능성이 커지며 4,000달러(약 540만 원) 혹은 그 이상까지의 상승 여력도 기대해볼 수 있다. 반면, 돌파에 실패하면 다시 3,000달러(약 400만 원) 선을 시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4시간 차트 관점에서는 이더리움이 한때 3,300달러(약 450만 원)를 하회하는 급락 이후, 강한 반등으로 곧바로 하락세를 무력화시킨 흐름이 관찰된다. 현재는 ‘매도자 기반(Seller’s Base)’으로 불리는 마지막 공급 구간인 3,600~3,700달러 부근에서 가격이 통합되는 양상이다. 이 구간의 돌파 여부는 단기적인 매수세 우위 확정을 가늠할 핵심 지표로 작용할 전망이다.
기술 지표인 RSI(상대강도지수)에서도 긍정적 흐름이 감지된다. 최근 몇 주간 이어진 약세 다이버전스 추세선을 상방 돌파한 뒤, 과매도 구간에서 벗어나며 회복 흐름이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신호들은, 시장 구조가 확장 준비 국면으로 접어들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다.
온체인 데이터에서도 유사한 흐름이 확인된다. 특히 현물 평균 주문 규모 지표는 3,200달러 하락 당시 ‘고래(whale)’ 투자자의 매집 활동이 급증한 점을 보여준다. 이는 과거 여러 차례 고점·저점 전환 국면에서 나타났던 전형적인 패턴으로, 대형 투자자의 저점 매수와 소형 투자자의 매도 행태가 시기상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현재 ETH는 3,000~3,400달러(약 400만~460만 원) 구간을 주요 지지대로 형성하며, 낮은 변동성의 ‘축적(Accumulation)’ 단계를 진행 중인 것으로 분석된다. 만약 이 흐름이 지속된다면, ETH는 향후 4,500~4,800달러(약 610만~650만 원) 구간을 향한 마지막 상승 랠리를 준비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단기 저항 돌파 여부는 중요한 분수령이다. 대규모 투자자가 다시 현물 시장에 유입되고 있다는 징후는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시그널이지만, 중단 없는 상승을 위해서는 시장 전반의 위험 선호 회복과 거래량 증가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