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퀘어, 400만 매장에 비트코인($BTC) 결제 도입…리플 CTO '결제 자산으로서 효율성 있다' 반박

| 서도윤 기자

리플(Ripple)의 최고기술책임자(CTO) 데이비드 슈와츠가 비트코인(BTC)을 지불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시장의 의문에 대해 직접 해명했다. 그는 시세 상승 기대가 있는 자산인 비트코인으로 결제를 하는 이유에 대해 경제적 논리를 들며 설명했다.

논의의 시작은 잭 도시가 이끄는 스퀘어가 미국 내 400만 명의 판매자를 대상으로 비트코인 결제를 도입한다는 발표였다. 도시 측은 "판매자들은 이제 비트코인→비트코인, 비트코인→현금, 현금→비트코인, 또는 현금→현금을 선택할 수 있다"고 전하며, 2027년까지 결제 처리 수수료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 발표 직후, X(구 트위터)에서는 한 사용자가 "앞으로 가격이 더 오를 수 있는 비트코인을 누가 지금 결제에 사용할까?"라는 질문을 올렸다. 이에 슈와츠는 즉각 응답하며 "누구나 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당신이 지불하는 자산은 받는 사람이 가장 받고 싶어하는 자산일 때 가장 효율적"이라며, "비트코인을 사용할 경우 미래 상승 기대 수익을 지불 당시 현재가치로 전환해 활용하는 것이며, 바로 그렇기 때문에 가격이 높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논쟁은 암호화폐가 지불 수단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오랜 논의를 다시 불러일으켰다. 실제로 비트코인은 자산으로서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인식되는 동시에, 결제 수단으로서 기능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존재한다. 이번 스퀘어의 발표는 이러한 논의에 새로운 물꼬를 튼 사례다.

한편 비트코인을 활용한 첫 실제 거래 사례로 꼽히는 2010년의 ‘비트코인 피자 구매’도 다시 주목받고 있다. 개발자 라즐로 헤니츠는 당시 1만 BTC를 주고 피자 2판을 구입했으며, 당시 가치는 단 41달러(약 5만 3,000원)에 불과했다. 그러나 현재 시세 기준 1만 BTC는 약 10억 5,104만 달러(약 1조 4,324억 원)에 달한다.

비트코인을 결제에 사용하는 데에는 여전히 고유의 리스크와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그 가치는 지불 당시에도 이미 시장 참여자들이 미래 수익률을 반영해 평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화폐로서의 효용 가능성도 다시 조명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