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코인, 가격 하락 속 기술 업그레이드·AI 협력 가속화

| 이도현 기자

파이코인, 가격 압박 속 기술적 확장 가속화

파이코인(PI)은 최근 가격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생태계 개발과 기술적 업그레이드를 통해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재 파이코인은 약 0.223~0.227달러(약 300~310원)로 거래되고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하락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변동성 확대…단기적 추가 하락 가능성 제기

현재 파이코인의 거래 가격은 약 0.2278달러로 하루 전 대비 약 1.88% 하락했다. 트레이딩뷰 등의 기술적 분석 지표 중 89%가 약세 신호를 보이고 있어 당분간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분석가들은 오는 11월 16일까지 파이코인 가격이 약 0.1716달러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예측하며, 이는 현재 가격 대비 약 23%의 추가 하락을 의미한다.

주요 지지선은 0.216~0.227달러, 저항선은 0.237~0.241달러 선에 위치하고 있다. 24시간 기준 거래량은 약 2,118만 달러이며, 월간 누적 거래량은 약 12억 달러로 유동성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파이코인 유통 확대로 인한 가격 부담

가격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는 토큰 유통량 증가가 지목되고 있다. 현재 거래소에 보유된 파이코인 물량은 약 4억 2,600만 PI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매도 압력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11월과 12월 동안 약 1억 4,500만~1억 7,300만 PI가 신규로 유통될 예정이며, 일일 기준으로는 평균 약 485만 PI가 매일 시장에 풀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은 공급 압력은 연말까지 지속적인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이와 같은 대규모 언락이 새로운 수요 증가나 온체인 활동 증가로 상쇄되지 않을 경우 가격 하락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기술 업그레이드 및 AI 통합으로 신뢰도 향상

파이 네트워크는 최근 노드 업그레이드를 단행하며 사용자 기반의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이외에도 인공지능(AI) 분야로의 확장을 위해 오픈마인드(OpenMind)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탈중앙화 AI 프로토콜을 도입할 예정이다.

이 협력 프로젝트는 파이코인 보유자들이 개별 노드를 통해 AI 모델 학습에 참여하고, 유휴 컴퓨팅 자원을 수익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파이 네트워크 벤처스는 이번 프로젝트에 총 1,000만 달러(약 134억 원)를 투자했으며, 약 35만 개 이상의 활성 노드가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결제 경쟁 준비…ISO 20022 표준 동참 추진

파이 네트워크는 오는 2025년 11월로 예정된 ISO 20022 국제 결제 메시징 표준 전환에 앞서 이를 채택하기 위한 준비를 진행 중이다. 이는 리플(XRP), 스텔라(XLM)와 같은 기존 블록체인 기반 결제 네트워크와의 경쟁을 염두에 둔 움직임으로 분석된다.

표준 준수를 통해 파이코인은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와의 호환성을 확보하고, 국제 결제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DEX 출시에 대한 기대와 리스크

분산형 거래소(DEX)의 출시는 파이 네트워크 로드맵 내에서도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DEX는 자체 생태계 내에서 유동성과 거래 기능을 자립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인프라이며, 현재 출시가 임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구체적인 세부 일정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한편 거버넌스 체계의 투명성 부족과 낮은 시장 유동성은 장기적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시장 평가 및 중장기 전망

2025년 11월 12일 기준, 파이코인은 암호화폐 시총 기준 47위에 위치하며, 시가총액은 약 18억 9,300만 달러(약 2조 5,200억 원)에 달한다. 최근 7일간은 4.85% 상승했지만, 지난 90일 동안은 약 41.83% 하락하며 전반적인 약세 트렌드를 나타내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지속적인 토큰 언락과 낮은 거래량이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지만, AI 통합 및 글로벌 결제 인프라 진입 등 장기적인 기술 발전 요소는 향후 반등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투자자들은 생태계 개발 현황과 함께 유통량 추이 및 유동성 지표, DEX 런칭 일정 등을 지속적으로 체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