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별 상승률]
리스크(LSK/KRW)는 최근 1주일간 +49.10% 상승하며 단기 강세 종목으로 부상했다. 유니스왑(UNI/KRW)도 1주일간 +45.51%, 넥스페이스(NXPC/KRW)와 제로지(0G/KRW)는 각각 +36.90%, +37.12%로 높은 단기 수익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리스크와 넥스페이스는 1년 기준 각각 -69.81%, -79.84%로 여전히 장기 하락 추세에 머물러 있다.
주간 상승률 / 업비트
[주간 상승률 TOP 10]
1위 바운드리스 (ZKC/BTC) +151.32%
2위 리졸브 (RESOLV/BTC) +120.00%
3위 고체인 (GO/BTC) +100.00%
4위 그로스톨코인 (GRS/BTC) +62.89%
5위 파일코인 (FIL/BTC) +59.16%
6위 리스크 (LSK/BTC) +55.05%
7위 에어로드롭파이낸스 (AERO/BTC) +50.14%
8위 유니스왑 (UNI/BTC) +50.03%
9위 쑨 (SOON/BTC) +48.14%
10위 넥스페이스 (NXPC/BTC) +44.63%
비트코인 마켓에서는 바운드리스(ZKC)와 리졸브(RESOLV)가 각각 +151.32%, +120.00% 상승하며 급등 폭이 가장 컸다. 10위권 대부분이 BTC마켓에 집중돼 있다는 점은 국내보다는 글로벌 자금 유입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일 매도 체결강도 TOP 5]
1위 베이직어텐션토큰 (BAT/KRW) 0.00%
2위 오브스 (ORBS/KRW) 0.00%
3위 세이프 (SAFE/KRW) 0.00%
4위 소닉SVM (SONIC/KRW) 0.00%
5위 옵티미즘 (OP/KRW) 0.00%
체결 강도 기준으로는 BAT, ORBS, SAFE, SONIC, OP 등이 모두 체결강도 0%로 매수세 실종 구간에 진입했다. 단기 횡보 혹은 약세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기술적 반등보다는 관망세가 우세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번 주 가상자산 시장은 BTC 마켓 위주의 급등과 함께 일부 KRW 마켓에서 단기 트레이딩 수요가 증가한 모습이다. 반면 일부 종목은 완전한 거래 정체 구간에서 벗어나지 못해, 종목별 변동성 차별화가 뚜렷한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투자자들은 주간 수익률보다는 체결강도와 거래량 흐름을 참고한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