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가(ATH) 갱신 종목 (12일 기준)
① 베리타시움(VERI)
현재가 8.87달러 | ATH 2358달러 (–99.6%)
② 쿠코인토큰(KCS)
현재가 12.94달러 | ATH 79.13달러 (–83.7%)
③ 체인링크(LINK)
현재가 15.25달러 | ATH 72.29달러 (–78.9%)
④ 싱귤래리티넷(AGIX)
현재가 0.147달러 | ATH 28.39달러 (–99.5%)
⑤ 호라이즌(ZEN)
현재가 13.36달러 | ATH 366.18달러 (–96.4%)
이날 현재까지는 신고점 경신 종목이 없었다. 전날에는 다수의 종목이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상위 자산들은 최근 ATH를 기록한 직후 강한 조정을 겪으며 공통적으로 큰 폭의 변동성을 보였다. 특히 베리타시움과 싱귤래리티넷은 ATH 대비 99% 수준의 조정을 받아 급락폭이 두드러졌으며 체인링크·쿠코인토큰·호라이즌 역시 단기 고점 형성 후 빠르게 가격을 되돌리는 흐름을 나타냈다.
최저가(ATL) 경신 종목
① 알로라(ALLO)
현재가 0.335달러 | ATL 0.323달러 (+3.66%)
② 캐럿(KARRAT)
현재가 0.0173달러 | ATL 0.0164달러 (+5.46%)
③ 얄라파이낸스(YALA)
현재가 0.0478달러 | ATL 0.0474달러 (+0.85%)
④ 블랙홀(BLACK)
현재가 0.0762달러 | ATL 0.0748달러 (+1.85%)
⑤ 펌프케이드(PUMPCADE)
현재가 0.0111달러 | ATL 0.0108달러 (+2.29%)
전체 5개 종목이 신저점을 경신했다. 해당 자산들은 모두 최근 ATL을 새로 기록한 직후 제한적 반등을 보이고 있으며 공통적으로 극심한 조정 흐름 이후 소폭의 기술적 회복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캐럿과 펌프케이드는 단기 저점 대비 5% 안팎의 반등 폭을 기록하며 매수세 유입 가능성을 보여줬다. 전반적으로 시장 약세 속에서도 저가 매수 시도가 일부 종목에 집중되는 차별적 흐름이 관찰된다.
시가총액 TOP 5 종목
① 비트코인(BTC)
현재가 101292달러 | ATH 126038달러 (–19.1%)
② 이더리움(ETH)
현재가 3428달러 | ATH 4948달러 (–30.7%)
③ XRP(XRP)
현재가 2.40달러 | ATH 3.84달러 (–37.5%)
④ BNB(BNB)
현재가 954.01달러 | ATH 1369달러 (–30.3%)
⑤ 솔라나(SOL)
현재가 152.68달러 | ATH 293.65달러 (–48%)
상위 5개 주요 자산은 모두 올해 기록한 고점 대비 조정 국면에 진입한 모습이다. 비트코인은 10만달러 초반대를 유지하며 비교적 안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고, 이더리움·BNB는 30% 내외의 조정을 거치며 완만한 조정세를 이어가고 있다. XRP와 솔라나는 더 큰 폭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장기적 상승률을 유지하며 여전히 강한 시장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실시간 국내 트렌딩 종목
① 인튜이션(TRUST)
현재가 0.168달러
ATH 0.579달러 (–70.9%) | ATL 0.164달러 (+2.96%)
② 유니파이네트워크(UAI)
현재가 0.186달러
ATH 0.256달러 (–27.1%) | ATL 0.0371달러 (+402.2%)
③ 오버테이크(TAKE)
현재가 0.326달러
ATH 10.33달러 (–96.8%) | ATL 0.0496달러 (+557.9%)
④ 칸톤 네트워크(CC)
현재가 0.134달러
ATH 0.174달러 (–22.9%) | ATL 0.0978달러 (+37.3%)
⑤ 모멘텀(MMT)
현재가 0.438달러
ATH 3.98달러 (–89%) | ATL 0.347달러 (+26.5%)
국내 트렌딩 종목 상위권은 공통적으로 ATH 대비 큰 폭의 조정을 받은 뒤 저점 대비 강한 기술적 반등을 이어가는 흐름이 두드러졌다. 특히 오버테이크와 유니파이네트워크는 ATL 대비 수백 퍼센트 상승하며 고위험·고변동 종목군으로 투자자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반면 모멘텀과 칸톤 네트워크는 단기 조정 구간에서 점진적 회복세를 보이며 안정적 저가 매수 수요가 유입되는 모습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