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규제 움직임에 직격탄을 맞은 메타플래닛 주가가 7% 가까이 급락했다. 비트코인(BTC)을 대거 보유한 이 기업은 최근 일본 내에서 ‘디지털 자산 금고’ 역할을 하는 상장사에 대한 제재 논의가 확산되며 압박을 받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일본거래소그룹(JPX)은 비상장 기업이 합병 등을 통해 우회 상장을 한 뒤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를 대거 매입하는 사례가 늘자 관련 규제 도입을 검토 중이다. JPX는 기존 산업에 기반해 상장된 기업이 추후 암호화폐 축적 전략으로 사업 방향을 선회하는 것을 제한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메타플래닛처럼 전통 산업에서 출발해 암호화폐 보유 기업으로 전환한 회사들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다.
JPX는 이른바 ‘디지털 자산 금고 기업(DAT·Digital Asset Treasury)’의 확산을 우려하고 있다. 규제 초안에는 우회 상장 요건 강화, 기존 상장 기업의 사업 전환 시 감사 의무화 등의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현 단계에서는 공식 발표 없이 내부 논의 수준이지만, 시장에는 적잖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직격탄을 맞은 건 도쿄 증시에 상장된 메타플래닛이다. 한때 호텔 사업을 하던 이 기업은 2024년 대거 비트코인을 매입하며 마이클 세일러의 스트레티지(Strategy)를 벤치마킹했다. 당시 메타플래닛은 최대 21만 개 비트코인의 보유를 목표로 밝혀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블룸버그 보도 이후 주가는 7% 가까이 하락했고, 올해 6월 이후 누적 낙폭은 약 75%에 달한다.
암호화폐를 핵심 경영 전략으로 삼는 상장사가 늘어나자, 일본 당국은 자금 조달과 투자자 보호 문제를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9월 이후 3개 일본 상장사는 암호화폐 매입 계획을 보류했는데, 이는 조달 난항과 규제 불확실성을 이유로 들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메타플래닛의 주가 급락은 암호화폐 기업과 투자자들에게 규제 리스크가 다시 시장의 중요한 변수로 부상했음을 시사한다. 일본 내 DAT 규제가 현실화할 경우, 유사한 전략을 구사하거나 검토 중인 글로벌 상장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