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17일 오전 11시 21분 기준
비트코인이 소폭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거래량은 급증하고 투심은 '극단적 공포'로 심화되는 등 시장은 단기 변동성 확대와 심리적 불안이 동시에 강화되는 구간에 진입했다.
📉 가격은 지금
가격 9만5177달러(–0.18%)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0.18% 하락한 9만517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단기 조정이 완만하게 진행되며 방향성 탐색 구간이 이어지고 있다.
거래량 715억2000만달러(+98.66%) 24시간 거래량은 전일 대비 98.66% 급증했다. 가격 변동폭은 제한적이지만 거래 밀도가 두 배 가까이 확대되며 단기 변동성이 크게 강화됐다.
일일 변동률 +0.90% 최근 비트코인 일일 변동률은 ▲11월 13일 –1.85% ▲11월 14일 –4.94% ▲11월 15일 +0.93% ▲11월 16일 –1.13% ▲11월 17일 +0.90%로 집계됐다. 14일 급락 이후 소폭 반등과 재조정을 반복하며 횡보 국면이 지속되고 있다.
💹 자산 비교 S&P500↓·금↓ S&P500 지수는 –3.38(–0.05%) 하락했다. 금 가격은 –4.5(–0.11%) 하락했다.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모두 소폭 조정을 받으며 전반적 관망세가 확인된다.
📊 MACD –822.42 단기 MACD는 –822 수준으로 약세 모멘텀이 강화됐다. 주간 MACD는 –3138 수준으로 중기 흐름에서도 하락 압력이 선명하게 유지되고 있다.
❤️ 투심은 지금
도미넌스 58.90%(0.00%p)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58.9%로 전일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알트 대비 비트코인 쏠림 현상이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흐름이다.
공포·탐욕 지수 17(극단적 공포) 지수는 전일 대비 하락하며 극단적 공포 단계로 심화됐다. 역사적 수치와 비교해도 낮은 수준으로, 지난주 29에서 이번 주 18로 급락한 점이 투자자들의 극도로 위축된 심리를 보여준다. 투자자들이 단기 변동성 확대에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하며 리스크 회피 성향이 최고조에 달한 상태다.
구글 트렌드 전일 59 → 당일 77(+18) 비트코인 검색량이 급증했다. 가격 소폭 하락에도 관심이 폭발적으로 확대되는 전형적 공포 분출 구간이다. 검색량 급증은 시장 불안이 극대화될 때 나타나는 특징적 패턴으로, 투자자 경계감이 정점에 달했음을 시사한다.
🧭 시장은 지금
SSR 11.96(–0.04) 스테이블코인 대비 BTC 시총 비율은 소폭 하락했다. 전일 11.92에서 11.96으로 미세 증가하며 매수 여력이 소폭 회복된 상태다.
NUPL 0.4122(–0.0234) 미실현 수익 비율이 0.4043에서 0.4122로 소폭 상승했다. 미실현 이익 규모가 일부 회복되며 투자자 심리가 극단적 악화에서 벗어나는 초기 신호를 보이고 있다. 0.4~0.5대는 중립과 낙관 사이의 전환 구간으로, 지표 상승은 투자심리가 조심스럽게 회복되는 방향으로 기우는 신호다.
거래소 보유량 239만4600 BTC(+0.15%) 비트코인이 외부 지갑에서 거래소로 유입되고 있다는 의미로, 단기 매도 공급이 증가하는 구조적 약세 압력 신호로 해석된다. 이는 단기 차익 실현 성향이 강화되는 흐름과 맞물리며, 가격 조정 국면에서 매도 압력을 가중시키는 역할을 한다.
거래소 순출입금량 +3618.5K BTC(순유입) 순출입이 대규모 순유입으로 전환되며 거래소 내 즉각적인 매도 압력이 크게 증가한 모습이다. 이는 단기적으로 공급 측 스트레스가 높아지는 지표로, 급격한 하락 가능성이 커지는 환경을 조성한다. 전일 대비 2.47% 증가한 수치는 최근 며칠간 가장 큰 규모의 유입이다.
활성 지갑 수 98만9026개(+5.08%) 활성 지갑 수가 전일 97만3193개에서 5.08% 증가한 점은 가격 조정 국면에서도 온체인 활동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거래·이동·참여가 살아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으나, 거래소 순유입 증가와 맞물려 실제 매수 전환보다는 차익 실현 목적의 활동 증가로 해석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