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가(ATH) 갱신 종목
① 더 오피셜 67 코인(67)
현재가 0.0237달러 | ATH 0.0237달러 (0%)
전체 1개 종목이 신고가를 기록했다. 더 오피셜 67 코인은 최근 0.0237달러로 사상 최고가(ATH)에 도달하며 강한 단기 모멘텀을 형성했다. 지난 9월 기록한 최저가(0.000140달러) 대비 1만6823% 상승하며 급격한 가격 회복세를 보여줬다.
최저가(ATL) 경신 종목(17일 기준)
① 오미세고(OMG)
현재가 0.0998달러 | ATL 0.0994달러 (+0.38%)
② 래드웍스(RAD)
현재가 0.365달러 | ATL 0.360달러 (+1.40%)
③ 밸런서(BAL)
현재가 0.706달러 | ATL 0.703달러 (+0.41%)
④ 오키드(OXT)
현재가 0.0298달러 | ATL 0.0294달러 (+1.06%)
⑤ 울트라(UOS)
현재가 0.0132달러 | ATL 0.0131달러 (+0.76%)
이날 최저가를 경신한 종목은 없었다. 전날에는 위 5개 종목을 포함해 100여 종이 넘는 암호화폐가 최저점을 기록했다. 현재도 사상 최저가(ATL)에 근접한 수준에서 거래되며 시장 전반의 약세 심리를 반영하고 있다. 최근 단기 반등 폭이 크지 않고 ATL 대비 소폭 상승한 수준에 머물고 있어 유의미한 추세 반전의 근거는 아직 부족한 모습이다.
시가총액 TOP 5 종목
① 비트코인(BTC)
현재가 92148달러 | ATH 126038달러 (–26.9%)
② 이더리움(ETH)
현재가 3031달러 | ATH 4948달러 (–38.7%)
③ XRP(XRP)
현재가 2.16달러 | ATH 3.84달러 (–43.7%)
④ BNB(BNB)
현재가 909.22달러 | ATH 1369달러 (–33.6%)
⑤ 솔라나(SOL)
현재가 131.04달러 | ATH 293.65달러 (–55.4%)
상위 5개 종목 모두 ATH 대비 하락 구간에 머물며 시장 전반의 조정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솔라나는 절반 이상 조정된 상태로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큰 모습을 나타냈다. 반면 비트코인과 BNB은 상대적으로 낙폭이 제한되며 대형 자산으로서의 방어력이 확인됐다. 전체적으로 주요 시총 자산이 고점 대비 조정을 받았지만 장기적 저점 대비 수익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실시간 국내 트렌딩 종목
① 월렛커넥트토큰(WCT) 현재가 0.167달러
ATH 1.35달러 (–87.6%) | ATL 0.0784달러 (+112.8%)
② 엘리자OS(ELIZAOS) 현재가 0.00755달러
ATH 0.0137달러 (–44.7%) | ATL 0.00615달러 (+22.8%)
③ 퀘크AI(Q) 현재가 0.0158달러
ATH 0.0522달러 (–69.8%) | ATL 0.00809달러 (+95.2%)
④ 모멘텀(MMT) 현재가 0.312달러
ATH 3.98달러 (–92.1%) | ATL 0.301달러 (+3.77%)
⑤ 지캐시(ZEC) 현재가 611.26달러
ATH 5942달러 (–89.7%) | ATL 16.13달러 (+3689%)
국내 트렌딩 상위권을 차지한 종목들은 전반적으로 ATH 대비 큰 폭의 조정을 받은 상태지만 동시에 ATL 대비 수익률은 대거 플러스 구간을 기록하며 최근 단기적인 회복 흐름에 시장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지캐시는 극단적인 변동성을 보여주며 국내 투자자들의 ‘반등 모멘텀’ 기대감을 자극하는 모습이다. 반면 월렛커넥트토큰과 퀘크AI는 온체인·AI 테마 수요가 유지되면서 소폭의 기술적 반등이 이어지고 있어 단기 트레이딩 관점의 선호가 강한 구간으로 평가된다.
[편집자주] 암호화폐 시장은 하루 새 고점과 저점이 빠르게 바뀌는 고변동성 환경이다. 역대 최고가(ATH)와 역대 최저가(ATL) 경신 종목을 추적하면 강세와 약세 흐름을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크립토랭크 기준 시가총액 1000만 달러 이상 종목 중 하루 사이 고점 또는 저점을 경신한 주요 토큰을 정리하고 시가총액 상위 종목과 실시간 국내 인기 자산의 고점 대비 조정률을 함께 분석해 시장 회복 여력과 흐름을 진단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