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지난 강세장 흐름의 정점을 지나 ‘가장 약세적인’ 국면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관 수요가 위축되고 주요 기술 지표도 하락세를 보이며, 시장 전반에 경고등이 켜지고 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최근 주간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의 시장 분위기가 2023년 1월 시작된 이번 강세장에서 가장 ‘약세적인’ 단계로 이동했다고 진단했다. ‘강세 점수 지수(Bull Score Index)’는 100점 만점에 20점까지 떨어진 상태다. 일반적으로 50 이하는 약세 구간으로 간주되며, 20은 극단적인 투자 심리 위축을 의미한다.
기술적 지표도 비관적이다. 비트코인 가격은 현재 1년 장기 이동평균선인 10만 2,000달러(약 1억 3,260만 원)를 크게 밑돌고 있다. 해당 지수는 지난 2022년 약세장 발발 당시 확인된 핵심 하락 신호로, 매도 전환의 기준선으로 자주 사용된다.
시장 약화는 기관 수요 위축과도 맞물린다. 첫째, 비트코인을 자산으로 보유하던 기업들의 매입 활동이 둔화됐다. 대표적으로 마이클 세일러가 이끄는 스트레티지(Strategy)는 최근 8,178 BTC, 약 8억 3,500만 달러(약 1조 1,220억 원)를 매수했지만, 이는 과거와 비교해 ‘적은 규모의 거래’에 불과하다고 크립토퀀트는 평가했다.
또한 이머징 자산으로 자리매김하던 비트코인 ETF(상장지수펀드) 시장에서도 유입 자금이 눈에 띄게 줄었다. ETF는 기존 금융시장에서 제도권 투자자들의 비트코인 접근 수단으로 주목받아 왔지만, 이마저도 최근 거래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암호화폐 시장 전체가 기술주 랠리나 Nvidia 같은 실적 호재에 일부 반등하는 모습이지만, 비트코인 고유의 펀더멘털은 점차 약해지고 있다. 강세장의 연장 또는 재개를 기대했던 투자자들도 조심스러운 관망세로 돌아서는 분위기다.
TokenPost Ai
🔎 시장 해석
이번 하락은 단순한 조정이 아니라 구조적인 강세장의 마무리 가능성을 시사한다. 기관 수요 둔화와 장기 이동평균선 이탈은 과거 약세장의 전조와 유사한 패턴이다.
💡 전략 포인트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술적 지표가 명확한 하락세를 가리키는 만큼, 관망 전략이나 리스크 헤지만이 유효해 보인다. ETF 유입 추이와 기업 매수 동향 추적이 중요하다.
📘 용어정리
- 강세 점수 지수(Bull Score Index): 시장 내 긍정 심리를 수치화한 지표. 투자자가 매수 중심인지 매도 중심인지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 장기 이동평균선(MA365): 지난 365일간의 평균 가격을 나타내는 기술 지표로, 추세 판단의 기준선으로 활용된다.
- 비트코인 ETF: 비트코인을 기초 자산으로 하는 상장지수펀드로, 기관들이 암호화폐에 투자할 수 있는 간접 수단.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