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나스닥 커플링 강화…금리 인하 기대 후퇴에 위험자산 동반 하락

| 서지우 기자

빅테크 업계의 변동성과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투자자들이 위험 자산에서 발을 빼고 있다. 이 여파로 최근 비트코인(BTC)의 나스닥 지수와의 상관관계가 수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19일(현지시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인공지능(AI) 부문 호재에도 불구하고 장중 4% 급락했다. 이와 함께 비트코인도 4월 이후 처음으로 86,000달러(약 1억 1,337만 원) 아래로 하락했다. 엔비디아의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AI 산업 전반의 과잉 투자 우려가 시장을 짓누른 것으로 보인다.

억만장자 투자자 레이 달리오는 CNBC 인터뷰에서 현재 시장 상황을 ‘버블 영역’에 해당한다고 진단했지만, 당장 붕괴를 불러올 촉매는 없다고 밝혔다. 그는 투자자들에게 금처럼 공급이 제한된 자산에 대한 분산 투자를 조언했으며, 긴축 정책보다는 ‘부유세 강화’가 오히려 더 큰 리스크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런 시각과 달리 최근 발표된 고용 지표는 연준의 완화적 정책 기대를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했다. 9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119,000명 증가해 직전 달 감소세를 반전시켰다. 연준 회의록에 따르면 대부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은 ‘추가 금리 인하 시 인플레이션 고착화 우려’를 이유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시장은 향후 기준금리 인하 기대를 낮추고 있다. 트레이더들은 2026년 1월까지 두 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축소했으며, 이는 주식과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신중한 태도를 유도하고 있다.

한편, 암호화폐 트레이더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 중인 ‘관세 기반’ 경기부양책과 미국의 재정 압박 심화가 향후 유동성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도 하고 있다. 이는 향후 비트코인의 반등 가능성과도 연결되는 요소다.

TokenPost Ai

🔎 시장 해석

미 증시와 암호화폐가 높은 상관관계를 다시 보여주며, 빅테크 투자 심리가 크립토 시장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연준의 금리 유지 또는 고금리 장기화 전망은 단기 리스크 자산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 전략 포인트

1. 비트코인은 다시 나스닥과의 커플링 구간에 진입했으므로, 전통 금융시장 흐름을 병행 모니터링해야 함

2. 고용지표 호조는 매파적 메시지로 이어질 수 있으나, 재정정책 변수(트럼프의 관세 부양책 등)가 새로운 테마로 부상할 가능성 있음

3. 헤지 수단으로 금과 함께 ‘희소성 자산’군에 대한 투자 전략 재검토 필요

📘 용어정리

- 커플링(Coupling): 서로 다른 자산 간 가격 움직임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현상

- 관세 기반 경기부양책: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해 국내 산업을 활성화하겠다는 재정정책

- 비농업 고용지표: 농업을 제외한 전체 산업의 고용 변화를 보여주는 주요 경제지표, 금리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침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