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본사를 둔 비트코인(BTC) 채굴 장비 제조업체 비트메인(Bitmain)이 미국 당국의 안보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조사의 핵심은 비트메인의 ASIC(특정용도집적회로) 장비가 원격 조정 가능하고, 궁극적으로 미국 전력망에 대한 감시나 방해 행위에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다.
블룸버그는 복수의 익명 관계자 말을 인용해 미 국토안보부(DHS)가 주도하는 연방 수사 프로그램 '오퍼레이션 레드 선셋(Operation Red Sunset)'의 일환으로 이번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조사 대상은 비트메인의 채굴 하드웨어 전반으로, 미국 내 사용 중인 수천 대의 ASIC 장비가 포함된다.
비트메인을 둘러싼 긴장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24년 10월에는, 비트메인과 연관된 중국 반도체 설계사 샤먼 소프고(Xiamen Sophgo)가 미국 제재 기업인 화웨이와의 거래설에 휘말려 조사 대상에 올랐다. 이어 11월에는 미국 세관이 수천 대 규모의 비트메인 채굴기 입국을 보류시킨 바 있으며, 해당 장비는 올해 3월에 들어서야 일부 해제됐다.
시장에 미치는 파장은 작지 않다. 케임브리지 디지털 채굴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메인은 비트코인 채굴 ASIC 시장에서 약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여기에 2위 제조사 마이크로BT까지 포함하면 중국 본토 기업 두 곳이 글로벌 시장의 97%를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비트메인에 대한 미국 당국의 강경 대응은 자칫 자국 내 암호화폐 채굴 산업 전반에 고스란히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번 안보 우려가 얼마나 실체를 갖추고 있는지, 실제 장비가 위협 요소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따라 미국 정부의 정책 방향도 달라질 전망이다. 관련 조사 결과에 따라 수입 제한, 인증 등록 등의 규제가 강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비트메인에 대한 조사로 미국 내 채굴 장비 공급망 안정성이 흔들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채굴 비용 상승 및 해시레이트 변동이 우려된다.
💡 전략 포인트
암호화폐 채굴 시장에 참여 중인 기업 및 투자자는 중국산 장비 의존도를 재점검하고, 대체 생산라인 확보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용어정리
ASIC(특정용도집적회로): 특정 기능만을 수행하는 반도체 칩으로, 암호화폐 채굴에 특화된 성능을 제공한다.
오퍼레이션 레드 선셋(Operation Red Sunset): 미국 국토안보부가 주도하는 안보 리스크 평가 수사작전.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