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디지털 자산 책임자 로비 미치닉은 비트코인(BTC)에 투자하는 고객 대부분이 이를 결제 수단으로 보기보다는 ‘디지털 금’ 또는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치닉은 최근 유튜브 팟캐스트에 출연해 “현재로서는 블랙록이나 고객들 모두 비트코인을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로 바라보고 투자하지는 않는다”며 “그러한 비전은 마치 행사가격에서 크게 벗어난 옵션과도 같다”고 비유했다. 이어 “결제 수단으로서의 비트코인이 실현되지 말란 법은 없지만, 그 시나리오는 다소 투기적”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결제 네트워크로의 전환이 현실화되기까지는 넘어야 할 기술적 과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특히 비트코인의 확장성, 라이트닝 네트워크와 같은 2단계 확장 솔루션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갤럭시 리서치도 지난해 보고서를 통해 롤업 같은 비트코인 확장 방식이 현재는 유망해 보이나 장기적으로는 지속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된다고 밝힌 바 있다.
반면 미치닉은 ‘스테이블코인’이 결제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뒀다고 평가했다. 그는 “스테이블코인은 가치를 효율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상품·시장 적합성(product-market fit)을 확실히 입증하고 있다”며 “결제 영역에서는 이미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 중”이라고 언급했다.
비트코인이 실질적인 결제 수단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기술 인프라뿐 아니라 규제, 사용자 경험 등 다양한 층위에서의 진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면 당장은 ‘디지털 금’으로서의 역할이 시장에서 더 강하게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비트코인은 여전히 결제보다는 가치 저장 수단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미치닉의 발언은 기관투자자들이 바라보는 비트코인의 현재와 미래 가능성을 날카롭게 보여준다.
💡 전략 포인트
기술적 확장성과 스테이블코인의 성공을 감안할 때, 결제 시장은 스테이블코인이 주도하고 비트코인은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는 흐름이다.
📘 용어정리
- 디지털 금: 금처럼 희소성과 안전자산 속성을 가진 디지털 자산으로서의 비트코인을 설명하는 개념
- 라이트닝 네트워크: 비트코인의 거래 속도와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한 2단계 확장 솔루션
- 롤업(Rollup):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거래 데이터를 외부에서 처리한 뒤 블록체인에 통합하는 구조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