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을 비롯한 암호화폐 시장이 지난주 급락세를 보인 뒤 주말 사이 잠시 반등했다. 이번 주 미국의 주요 경제 지표 발표가 이어질 예정이어서 시장의 방향성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비트코인은 지난 금요일 82,000달러(약 1억 1,704만 원)까지 하락한 후 반등하며 월요일 아시아 장 초반 88,000달러(약 1억 2,544만 원)를 일시적으로 넘겼다. 그러나 여전히 사상 최고치 대비 약 30% 낮은 수준이며, 최근 2주 동안 하락한 낙폭이 대부분이다. 이더리움(ETH)은 2,850달러(약 4,065만 원)를 넘지 못한 채 약한 수급을 보이고 있으며, 알트코인 전반 역시 여전히 약세다.
지난주 미국 고용지표는 예상보다 견조하게 나왔지만, 12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 한 달 전 90%에서 현재 70% 이하로 낮아졌다. 주간 초기 데이터를 기준으로 미국 기술주와 인공지능 관련 주식은 암호화폐 시장과 함께 급락했다. 이에 따라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실제로 가시적인 금리 전환에 나설 수 있을지에 대한 시장의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부 부처 중 하나였던 '정부 효율성 부서(DOGE)'가 폐지된 사실도 주목된다. 이 부서는 당국 설명에 따르면 더는 ‘존재하지 않는’ 상태다. 정치적 불확실성과 거시경제 공백이 맞물린 가운데, 투자자들은 연방정부의 정상화 이후 한꺼번에 쏟아지는 지표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주 예정된 주요 지표는 화요일 발표 예정인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소매판매, 소비자신뢰지수, 미결 주택매매 지수, 그리고 수요일 발표 예정인 3분기 국내총생산(GDP)과 개인소비지출(PCE) 지표다. 이 중 PCE는 연준이 핵심적인 인플레이션 지표로 활용하는 만큼 시장 영향력이 크다.
‘베이지북’으로 알려진 미국의 경기상황 평가 보고서도 수요일 발표된다. 경제 방송 및 투자 리서치 업체인 '코베이시 레터(Kobeissi Letter)'는 “미국 정부 셧다운이 해소되면서 그간 밀린 경제 지표들이 한꺼번에 시장에 풀리고 있다”고 평가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단기적인 기술 반등 외에도 이번 주 경기지표 결과에 따라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전반의 추가 반등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본다. 인터랙티브브로커스의 수석 전략가 스티브 소스닉은 “암호화폐 시장은 이제 투기 심리를 반영하는 대표 지표가 됐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은 월요일 오전 3조 달러(약 4,278조 원)를 재돌파했지만, 여전히 10월 고점 대비 32% 낮은 수준이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이번 주 미국의 다수 경제지표가 연속 발표되며 금리 인하 기대감이 다시 살아날 경우 비트코인의 반등세가 확대될 수 있다. 다만 이미 일정 부분 반영된 금리 기대감은 매수 타이밍에 신중함을 요구한다.
💡 전략 포인트
9월 및 10월 지표의 방향성에 따라 단기 트레이딩 전략이 달라질 수 있다. 특히 PCE·GDP·PPI는 시장 방향에 결정적인 촉매가 될 수 있다.
📘 용어정리
- PPI: 생산자물가지수. 생산 단계의 인플레이션을 측정
- PCE: 개인소비지출지수. 소비자의 지출 패턴 기반 인플레이션 지표
- 베이지북: 미 연준 지역별 경제현황 보고서. 금리 결정 참고자료로 활용됨
- DOGE: 트럼프 정부 당시 행정 효율 부서. 암호화폐 도지코인과는 무관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