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규모의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가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 행위에 대해 면밀히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북한이 다양한 해킹 수법을 통해 비트코인 등 디지털 자산을 확보하고 있다는 국제사회의 우려 속에서 이뤄진 발언이다.
김민재 바이낸스 전문조사관은 2025년 11월 24일 서울 서대문구에서 열린 ‘바이낸스 블록체인 스터디’ 행사에서, 북한이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을 해킹 등 불법 수단으로 확보한 뒤 이를 각국 거래소로 유입시키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바이낸스도 이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비공식 통계를 인용해 북한이 보유한 비트코인이 세계 3위 수준이라는 보도도 언급했다.
김 조사관은 과거 경찰 수사관 출신으로, 현재는 바이낸스에서 수사기관과의 협업 및 사이버 범죄 대응 교육을 전담하고 있다. 그는 바이낸스가 전 세계적으로 연간 수만 건의 수사 공조 요청을 받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지난해 1천 건을 넘는 요청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국내 요청이 740여 건으로 증가해 전년 대비 약 40% 상승한 수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공조 요청의 증가는 범죄 자체의 증가보다는, 거래소에 수사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는 인식이 기관과 사용자들 사이에 확산됐기 때문이라는 게 김 조사관의 설명이다. 그는 과거와 달리 가상자산 관련 범죄에 대한 대응 방식이 제도적으로 정비되고, 교육도 강화되면서 공조 체계가 정착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조사관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투자 사기 자금 동결 사례, 캄보디아 납치사건에서의 협조 사례 등을 소개하며, 글로벌 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거래소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분석기업과 발행사까지 다양한 민간 주체들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가상자산 시장이 더욱 제도화되고, 국제 공조 체계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북한을 비롯한 사이버 위협 요인에 대응하기 위해 민간 플랫폼의 책임과 역할이 계속해서 강조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