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가격이 약 8만 달러(약 1억 800만 원) 선을 시험하고 있는 가운데, 단기 보유자들의 대규모 투매가 발생해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이는 과거 사이클에서 지역 바닥을 형성하던 시점과 유사한 흐름으로, 이번 조정이 저점 신호일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하락은 10월 사상 최고가 대비 약 36% 급락한 상황에서 촉발됐다. 특히 비트코인을 보유한 지 155일 미만인 단기 투자자들이 패닉성 매도를 단행한 점이 주목된다. 온체인 분석가 '크립토댄(Crypto Dan)'은 이들의 감정이 긍정에서 부정으로 전환된 것이 바닥 징후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구간이 단순 조정이라면 여기가 바닥일 가능성이 크지만, 약세장의 일환이라면 하락은 더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관의 수요 둔화와 장기 보유자의 매도 흔적도 버팀목을 약화시키는 요인이다. '크립토온체인(CryptoOnchain)'은 최근 장기 보유자 지갑에서 약 6만 3,000 BTC가 유출된 것을 포착했으며, 이는 보통 시장 꼭지에서 나타나는 '디스트리뷰션(매도 분산)' 신호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단기 보유자들은 이 물량을 저가에 매입하는 추세를 보여 가격에 상승 압력을 줄 가능성도 존재한다.
또 다른 분석가 '구가온체인(GugaOnChain)'은 지난 11월 23일 ‘코인 데이즈 디스트로이드(CDD)’ 지표가 셀 시그널을 나타냈다고 전했다. 이 지표는 장기 휴면 BTC의 이동을 기록하는 것으로, 현재 2,500만 이상의 높은 수치를 기록하며 과거 하락 전조와 유사한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시장 수요 면에서도 회복 징후는 미미하다. 크립토퀀트는 최근 비트코인 현물 ETF의 유입이 급격히 둔화됐으며, 기관 수요를 반영하던 일명 ‘큰손’ 기업들도 매수 여력이 떨어졌다고 전했다. 대표적으로 스트레티지(Strategy)의 연간 비트코인 매수량이 17만 1,000 BTC에서 9,600 BTC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트코인은 최근 주간 저점인 약 8만 2,000달러(약 1억 1,070만 원)에서 반등해 현재 약 8만 7,000달러(약 1억 1,740만 원) 수준을 유지 중이다. 하지만 지난 30일간 22%, 전년 대비 12% 이상 하락한 상태다. 기술적으로는 심리적 지지선이던 9만 달러(약 1억 2,150만 원)가 무너지면서, 다음 방어선은 7만~7만 3,000달러(약 9,450만~9,855만 원) 구간으로 이동했다. 이 가격대는 주요 투자자 평균 매입 단가와 겹쳐 공방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유명 투자자들의 전략 변화도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비트코인 지지자 로버트 기요사키는 최근 약 225만 달러(약 30억 3,750만 원)의 비트코인을 매도했지만, 여전히 장기적 낙관론을 유지하며 예산 재투자 계획을 밝혔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단기 보유자들의 항복과 장기 보유자의 물량 이동이 동시에 벌어지고 있어, 시장의 균형이 깨질 가능성이 있다. 온체인 지표는 바닥 신호와 하락 가능성을 동시에 암시하고 있다.
💡 전략 포인트
심리적 구간인 8만 달러 방어가 실패할 경우 7만 달러대 지지선까지 열려 있어,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동시에, 저가 매수 기회로 평가하는 단기 투자자들의 움직임도 지켜볼 필요가 있다.
📘 용어정리
- 단기 보유자: 일반적으로 155일 미만 코인을 보유한 투자자
- CDD(Coin Days Destroyed): 장기 보유자가 보유한 코인을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지표. 수치가 클수록 매도 압력이 커짐
- 디스트리뷰션(Distribution): 고점 구간에서의 분산 매도 현상
- 패닉셀(Panic Sell): 공포에 의한 감정적 대량 매도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