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거센 매도 압력을 받으며 단기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기술적 지지선이 연달아 무너지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바닥’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현재 이더리움은 100일과 200일 이동 평균선 아래로 떨어진 상태로, $2,800(약 377만 원) 부근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당초 $3,000(약 404만 원) 선은 주요 지지선으로 여겨졌지만, 몇 차례의 횡보 후 결국 하방 이탈이 발생했다. 일간 차트에서 상대강도지수(RSI)는 30대 초반까지 하락해 약세 에너지가 여전히 강함을 시사한다. 기술적으로 볼 때, ETH가 $3,000~$3,100(약 404만~417만 원) 구간을 다시 회복하지 못한다면, 다음 주요 지지선인 $2,500(약 337만 원)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유력하다.
4시간 봉 차트에서는 하락 추세에서 자주 등장하는 ‘약세 상승 쐐기(wedge)’ 패턴이 형성돼 추가 하락의 징후로 해석되고 있다. 현재 이 패턴 하단을 테스트 중이며, 만약 이탈이 확정되면 $2,500 지지 구간 재도전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많다. 이 구간이 무너질 경우, 더 깊은 조정이 이어질 수 있다. 이 분석은 짧은 시간 동안 회복세를 보였던 ETH의 ‘숨 고르기’가 끝났다는 해석과도 맞닿아 있다.
온체인 지표도 매도세가 일시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 23일 기준, 이더리움은 중앙화 거래소에서 대규모 순유출을 기록했다. 이는 최근 몇 년 사이 가장 큰 유출 규모 중 하나다. 일반적으로 이 같은 움직임은 고래 투자자나 기관이 ‘콜드월렛’으로 자산을 이동시키는 단계에서 나타난다. 이는 장기 보유나 향후 매수 시점을 염두에 둔 움직임일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거래소에서의 매도 압력을 줄여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순유출 자체가 꼭 반등의 전조는 아니다. 디파이(DeFi) 플랫폼 유입이나 스테이킹 증가 등 보다 뚜렷한 상승세 신호가 동반돼야 시장이 '바닥을 찍었다'고 확신할 수 있다. 지금 상황은 아직 ‘조심스러운 축적’ 정도로 해석하는 편이 합리적이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이더리움은 기술적·심리적 지지선을 잇달아 하회하며 약세장을 이어가고 있다. 온체인상 대규모 순유출은 단기 매도 압력 완화 요인이지만 상승 전환 신호로 보기에는 이르다.
💡 전략 포인트
$2,500(약 337만 원) 지지 여부가 당분간 중대한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해당 구간이 견고히 지지된다면 기술적 반등이 나올 수 있으나, 이탈 시 추가 하락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 용어정리
- RSI(상대강도지수): 자산의 과매수·과매도를 판단하는 기술적 지표. 70 이상은 과매수, 30 이하는 과매도로 해석.
- 순유출(Netflow): 거래소에서 외부 지갑으로 전송되는 자산이 내부 유입보다 많을 때 ‘순유출’로 측정됨. 일반적으로 장기 보유 또는 매도 압력 완화 신호로 해석.
- 약세 쐐기(Bearish wedge): 상승하면서 점점 좁아지는 가격 패턴으로, 대개 하락 반전의 전조로 간주됨.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