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가 약세장 속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며 단일 종목으로는 드물게 주간 순유입액 9,000만 달러(약 1,200억 원)를 기록했다. 전체 암호화폐 펀드에서 대규모 자금 유출이 이어진 가운데 이례적으로 XRP만이 뚜렷한 자금 유입을 보였다.
코인셰어스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주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 전체에서는 총 19억 4,000만 달러(약 2조 5,500억 원)의 자금이 빠져나가며 2018년 이후 최악의 유출 사례 중 하나로 기록됐다. 이로써 최근 4주 누적 유출 규모는 49억 2,000만 달러(약 6조 4,650억 원)에 달했다. 그러나 연초 대비 총 순유입 규모는 여전히 444억 달러(약 58조 3,200억 원)을 유지하고 있어, 이번 유출이 전면적인 약세전환보다는 일시적 조정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이 와중에 XRP는 전체 흐름과는 정반대의 움직임을 보였다. 지난 한 주 동안 8,930만 달러(약 1,169억 원)가 유입되며 주요 알트코인 중 유일하게 플러스를 기록한 것이다. 여기에 상장지수펀드(ETF) 관련 호재도 힘을 보탰다. 11월 21일 하루에만 XRP 현물 ETF에 1,189만 달러(약 155억 원)의 자금이 들어왔고, ETF 누적 순유입은 4억 2,266만 달러(약 5,537억 원), 순자산은 3억 8,444만 달러(약 5,038억 원)에 달하게 됐다.
반면 비트코인(BTC)은 주간 기준 12억 7,000만 달러(약 1조 6,610억 원)가 유출되며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다만 7거래일 연속 자금이 빠져나가던 흐름은 금요일 들어 반전됐고, 당일 하루에만 2억 2,500만 달러(약 2,940억 원)가 재유입되면서 약세 사이클의 잠재적 종료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더리움(ETH)도 5억 8,900만 달러(약 7,719억 원)의 자금이 빠져나갔으며, 금요일 기준 5,750만 달러(약 750억 원)가 돌아왔다.
또한 숏 포지션을 노린 ‘숏 비트코인’ 투자상품에는 지난주 동안 1,900만 달러(약 249억 원), 최근 3주간은 총 4,000만 달러(약 525억 원)가 유입돼 시장 방어 전략이 여전히 주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번 XRP의 선전에는 미국 내 규제 진전에 따른 신뢰 회복과 ETF 상장 확대가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프랭클린 템플턴은 최근 XRP ETF를 뉴욕증권거래소 아르카(NYSE Arca)에 'XRPZ'라는 티커로 상장 승인을 받았으며, 이는 기관 자금 유입을 위한 새로운 통로로 주목받고 있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XRP는 극심한 자금 유출이 지속된 가운데 유일하게 주요 자금을 끌어들인 사례로, 시장 내 상대적 신뢰 회복과 ETF 관련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 전략 포인트
XRP 관련 ETF 확장, 기관 중심 자금 유입 경로 확보, 대체 자산 다변화 전략이 향후 상승 여력의 핵심 포인트로 부상하고 있다.
📘 용어정리
- 코인셰어스(CoinShares): 주요 디지털 자산 투자 분석 및 운용사
- 순유입(inflows): 투자금이 신규로 유입된 총액
- ETF(Exchange Traded Fund): 특정 자산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
- 단일 알트코인: 비트코인을 제외한 독립적 암호자산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