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비트코인 대량 보유기업 스트레티지 공매도 의혹…암호화폐 커뮤니티 '보이콧' 확산

| 손정환 기자

JP모건이 비트코인(BTC) 최대 보유 기업인 스트레티지(Strategy·MSTR)를 공략하기 위해 공매도 포지션을 취했다는 의혹이 확산되며 암호화폐 커뮤니티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월가의 전통 금융권이 디지털 자산 진영을 ‘의도적으로 공격’하고 있다는 분노가 들끓는 가운데, 스트레티지 주가에 대한 극단적 시나리오까지 거론되고 있다.

논란의 시작은 JP모건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였다. 이 보고서는 스트레티지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등 주요 주가지수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로 인해 수십억 달러 규모의 알고리즘 기반 자동 매도가 촉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암호화폐 지지자들은 이를 '허위 조장'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인플루언서로 활동하는 ‘에이드리언’은 보고서 내용이 이미 지난 10월 10일에 폐기된 MSCI 협의문서에서 재탕된 것이라며,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의도된 공격’이라고 주장했다. 방송인 맥스 카이저는 “스트레티지 주가가 50%만 상승해도 JP모건은 파산할 수 있다”며 해당 은행이 거대한 공매도 포지션을 잡았을 것이라는 주장을 내놨다.

친암호화폐 성향의 법률가이자 미국 매사추세츠주 상원의원 후보인 존 디튼(John E. Deaton) 역시 JP모건의 과거 법적 문제를 언급하며 "스트레티지와 마이클 세일러에게 그런 포지션을 잡았다면, 게임스톱 때의 분노 매수 현상이 재현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같은 비난이 확산되자 ‘JP모건 보이콧’을 선언하는 목소리도 커졌다. 작가 애덤 리빙스턴은 계좌 이탈을 촉구했고, 사업가 그랜트 카도네 역시 “이미 JP모건의 모든 계좌를 옮겼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를 ‘자연스러운 시장 반응’으로 보는 시각도 나왔다. 일부 네티즌은 JP모건 보고서가 단순히 인덱스 편출 우려라는 현실적 리스크를 반영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과도한 음모론을 경계했다.

이번 논란은 스트레티지를 중심으로 한 암호화폐 기업과 전통 금융기관 간 긴장이 가시화됐음을 보여준다. 마이클 세일러가 이끄는 스트레티지는 기업 자산운용 전략으로 비트코인을 대규모로 매입하며 시장에 파장을 일으켜왔다. 현재 보유 중인 비트코인은 64만 9,000개 이상이다.

세일러는 21일 성명에서 “우리 회사는 혁신적이고 실질적인 비즈니스를 운영하지, 수동적인 펀드가 아니다”라고 강조하며 MSCI 우려에 정면 반박했다. 또한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는 해당 보고서가 '과장된 경고(alarmist)'이며, 지수 제외 가능성은 이미 시장에 반영돼 있다고 해석했다.

암호화폐 지지자들 사이에선 JP모건의 이중적 행태도 문제 삼고 있다. 이 은행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ETH)을 대출 담보로 활용하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그러면서도 선도적 BTC 보유 기업을 공격한다는 점은 직설적인 비판을 받고 있다.

분석가 사이먼 딕슨은 "JP모건과 거대 금융권이 자신들의 통제를 유지하기 위해 예전 방식의 ‘봉건화 전략’을 다시 쓰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 흐름을 디지털 자산 산업에 대한 고의적인 지배 시도로 해석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주가 논란을 넘어, 암호화폐 자산을 둘러싼 시대적 금융 전쟁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읽힌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JP모건과 스트레티지의 갈등은 단순한 공매도 논란이 아니라, 전통 금융권과 디지털 자산 진영 간 ‘이데올로기 충돌’을 드러내는 사건이다.

💡 전략 포인트

비트코인 보유 기업에 대한 제도적 견제가 반복될 경우, 시장 내 ‘집단적 저항’이 강해질 수 있다. 공매도 공세는 오히려 반대 매수를 유도하는 역효과를 낼 가능성도 제기된다.

📘 용어정리

- MSCI: 글로벌 주가지수를 운영하는 업체. 주요 지수에서 제외되면 패시브 자금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 공매도(Short Position):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 매도하는 전략. 주가 상승 시 손실 위험이 크다.

- 게임스톱 사태: 미국 투자자들이 공매도 포지션을 역으로 공격하며 주가를 폭등시킨 사례.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