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이누(SHIB)가 급락세의 시장 흐름 속에서 드물게 강세를 보이며 다시 주목받고 있다. 24일 기준, 시바이누는 미국 달러는 물론 비트코인(BTC) 대비로도 2% 상승하며 ‘레드 마켓’ 안에서 홀로 초록불을 켰다. 어떤 광범위한 호재나 ETF 발표 없이 연출된 움직임이라는 점에서 업계는 이례적인 현상으로 보고 있다.
최근 밈코인 시장의 주도권은 도지코인(DOGE)이 ‘ETF 상장’이라는 이벤트로 확보해 온 측면이 크다. 그러나 도지코인과 대조적으로, 시바이누는 별다른 뉴스 없이 수급과 가격 흐름만으로 존재감을 다시 드러냈다. 2024년 3월에도 시바이누는 일주일 사이 최대 400% 넘게 급등해 화제를 모은 바 있으며, 이번 흐름이 연말 ‘산타 랠리’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현재 시바이누의 시가총액은 약 47억 2,000만 달러(약 6조 2,120억 원), 일일 거래량은 약 1억 3,600만 달러(약 1,790억 원)에 달한다. 단순한 투자자 수요 이상의 체계적인 '매집(accumulation)'이 진행 중일 수 있으며, 일부 시장 세력이 가격을 조정하고 있다는 해석도 제기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시바이누는 유동성이 충분하고 주요 거래소에 고르게 분산돼 있어 기관이나 대형 트레이더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며 "ETF 같은 대형 촉매 없이 가격이 단독 상승하는 경우는 매우 유의미하다"고 분석했다.
시장 전반의 약세장 속에서 이처럼 비트코인을 상회하는 밈코인의 움직임은 투자자 심리에 신호를 줄 수 있다. 특히 SHIB는 커뮤니티 기반과 거래량 측면에서 일정 이상 규모를 유지하고 있어 예기치 못한 반등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2025년 연말로 향하는 시장의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시바이누의 비트코인 대비 강세는 외부 호재 없이 거래량과 수급만으로 발생한 이례적 케이스로, 밈코인 시장의 숨겨진 매집 수요 가능성을 방증한다.
💡 전략 포인트
유동성을 갖춘 중소형 밈코인은 연말 랠리 국면에서 예기치 않은 상승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 선별적 분산 투자 포인트로 검토할 만하다.
📘 용어정리
- ‘산타 랠리(Santa Rally)’: 매년 12월 말에 발생하는 주식 및 자산 시장의 계절적 상승 현상
- ‘매집(Accumulation)’: 특정 자산을 낮은 가격에 장기적 목적으로 반복 매수하는 거래 패턴
- ‘유동성(Liquidity)’: 자산을 시장가격과 큰 차이 없이 거래할 수 있는 능력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