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세일러가 최근 비트코인(BTC)을 추가 매수했다는 발표에도 불구하고, 한 유명 공매도 투자자가 그간 하락장에서 적극적인 매수를 하지 않은 점을 두고 공개적으로 조롱하고 나섰다.
공매도 투자자로 잘 알려진 짐 채노스(Jim Chanos)는 최근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스트레티지(Strategy)의 창립자 마이클 세일러가 최근 비트코인 가격 급락 이후 뚜렷한 매수 활동을 보이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며 비꼬았다. 그는 “그런 시점이야말로 매수 타이밍 아닌가?”라며 정면으로 날을 세웠다.
채노스는 스트레티지의 주식(MSTR)에 대해 공매도를 취하면서 동시에 비트코인 자체는 매수하는 투자 전략을 펼쳐왔다. 그는 스트레티지가 보유한 비트코인 순자산 대비 주가가 과도하게 고평가됐다고 판단했으며, 세일러의 투자 모델 일부를 두고는 ‘금융적 헛소리’라고 날을 세운 바 있다. 그의 분석은 결국 적중했고, 스트레티지의 주가는 비트코인 상승률에 한참 못 미치는 부진한 흐름을 보이며 프리미엄이 크게 축소됐다.
그는 최근 이 헤지 포지션을 정리했다고 알려졌으며, 실현 수익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시장에선 상당한 이익으로 평가하고 있다. 채노스는 과거 엔론 사태 때 공매도로 명성을 얻은 인물로, 암호화폐 업계에서도 그의 행보는 적지 않은 관심을 모은다.
한편 스트레티지는 최근 약 8억 3,600만 달러(약 1조 1,202억 원) 규모의 비트코인을 추가 매수했다고 밝혔다. 세일러는 일관되게 비트코인을 ‘디지털 금’으로 포지셔닝하며 공격적인 매입 전략을 펼쳐왔지만, 최근 급락장에서의 무매수 행보는 자금 여력 한계를 드러내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공매도 투자자 짐 채노스는 스트레티지 주가 프리미엄 축소에 베팅하며 비트코인 실물과 주가간 괴리를 날카롭게 지적했다. 이는 BTC에 대한 ‘직접 보유’와 ‘ETF나 관련 주식 보유’ 사이의 리스크 해석에도 시사점을 준다.
💡 전략 포인트
세일러가 급락장에서 매수하지 않았다는 점은 자산운용 유연성 측면에서 주의를 요하는 대목이다. 암호화폐 기업의 자금 운용 계획이 단기 시장 이벤트에 얼마나 민감하게 움직이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용어정리
- 프리미엄 압축(MNAV 압축): 자산 가치 대비 과도하게 상승한 주가가 본래의 순자산 가치를 향해 내려오는 현상
- 헤지 포지션: 상승과 하락 양방향에 대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동시 보유하는 투자 전략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