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다노(ADA)의 창립자인 찰스 호스킨슨이 최근 SNS 발언으로 커뮤니티의 조롱을 받고 있다. 자기 자신을 ‘탈중앙 은행 시스템의 창시자’에 비유한 발언이 논란이 되며, 유저들 사이에서는 조롱 밈이 넘쳐나고 있다.
사건의 발단은 호스킨슨이 X(구 트위터)에 게시한 발언에서 시작됐다. 그는 영상을 통해 글로벌 금융 시스템을 설명하고 싶다며, “우리는 모두 ‘부채 노예(debt slave)’”라고 표현했다. 이에 한 사용자가 그의 전문성을 의심하며 “차라리 진짜 경제학자의 말을 듣고 싶다”고 지적했다.
이를 계기로 호스킨슨은 자신이 단순 개발자가 아니라 ‘탈중앙 중앙은행’을 만든 혁신가이자 “블록체인 위에 월스트리트를 재건한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과장된 자기홍보에 커뮤니티는 일제히 비판과 조소로 응수했다. 한 사용자는 “카르다노는 극소수 팬 외에는 제대로 쓰이지도 않는다”고 꼬집었고, 또 다른 이용자는 그를 “메시아 콤플렉스에 사로잡힌 인물”이라 평했다.
카르다노의 주요 경쟁 프로젝트 솔라나(SOL) 공식 계정도 여기에 가세했다. 해당 계정은 호스킨슨의 발언을 패러디하며 “당신은 내가 무슨 일을 하는지 아느냐? 나는 탈중앙 금융 플랫폼이자 월스트리트를 블록체인 위에 재구축한 존재”라는 트윗을 올렸다.
호스킨슨은 이전에도 SNS 논란에 휘말린 바 있다. 메타마스크 관련 지원 이메일에 대한 경솔한 트윗은 암호화폐 업계에서 큰 화제를 모았고, 이 트윗은 2022년 NFT로 전환돼 판매되기도 했다.
이번 논란은 단순한 해프닝 너머로, 프로젝트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역량과 자기인식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운다. 대중과의 소통이 곧 브랜드로 연결되는 시대에 있어, 창업자들의 발언 하나도 시장의 신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카르다노 창립자의 자기과신 발언은 커뮤니티 신뢰 훼손 가능성을 드러내며, 향후 프로젝트와 커뮤니케이션 전략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전략 포인트
리더십의 브랜딩이 강력한 무기이자 리스크라는 점을 감안할 때, 대외 발언은 더욱 정제되고 시장 친화적이어야 한다.
📘 용어정리
‘Debt Slave’ : 부채 중심 경제체제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상황을 비판하는 표현.
NFT (Non-Fungible Token) : 대체불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