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지난 11월 중순 약 10일간의 하락 끝에 7만 9,500달러(약 1억 1,679만 원)까지 떨어졌다가 8만 8,000달러(약 1억 2,919만 원)로 반등하면서, 시장에서는 이번 하락이 저점 형성인지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그러나 고래 투자자들은 여전히 비트코인을 매도하고 있어, 강한 회복세를 단언하기엔 이르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조정은 코인 분석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데이터에 기반한다. 온체인 분석가 카르멜로 알레만은 이번 하락을 ‘기관 투자자의 재분배’로 정의하며, 1,000~10,000 BTC 이상 보유한 대형 투자자 그룹이 여전히 판매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들은 새로운 매수세를 주도하기보다는 기존 수익 실현에 나서고 있으며, 소액 투자자들마저 지난 60일간 꾸준히 물량을 줄였다. 이는 시장 내 지지 매물 부족으로 해석된다.
반면, 중형 지갑(10~1,000 BTC 보유)은 최근 하락 구간에서 비트코인을 점진적으로 매집하며 가격 방어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만은 이들 지갑의 구매가 단기 반등의 기반이 됐다고 평가하면서도, 여전히 고래 매도세가 반전을 방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선물 시장의 변동성도 커졌다. 분석가 다크포스트는 최근의 롱 포지션 청산 규모가 2022년 FTX 붕괴 당시 수준에 근접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10월 10일과 11월 두 차례(14일, 21일)의 청산 규모는 역대급으로, 과도한 레버리지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시장이 주는 스트레스가 여전히 지속 중임을 시사한다. 그러나 다크포스트는 오히려 이러한 상황이 ‘레버리지 정화’로 이어져 새로운 진입자들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현물 기준으로 현재 비트코인은 약 8만 8,000달러(약 1억 2,919만 원) 선에 거래되며, 하루 기준 1% 상승했지만 주간 기준으로는 2%, 한 달 기준 약 21% 하락했다. 특히 10월 6일에 기록한 최고가 12만 6,000달러(약 1억 8,518만 원) 대비 약 30% 가까이 떨어진 상태다. 이 같은 하락에도 불구하고 일부 전문가들은 중장기 상승 흐름이 명확히 꺾인 것은 아니라고 진단한다.
하지만 비트코인이 7만 9,500달러에서 진짜 바닥을 찍은 것인지는 여전히 의견이 갈린다. 크립토 분석가 ‘크립토 댄’은 단기 보유자의 항복 신호가 바닥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고 봤다. 반면 ‘크립토온체인’은 약 6만 3,000 BTC가 장기 보유자로부터 이탈한 상황을 근거로, 이번 하락이 단순한 조정이 아닌 상승 주기 막판의 분배 단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밖에도 일부 전문가들은 2020년 코로나19 충격 이후 반등했던 시장 사례를 언급하며, 현재의 가격 조정 역시 빠르게 회복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그러나 다른 분석가들은 하락 시그널이 다수 포착되고 있다는 점에서 마지막 상승이 실현되더라도 곧바로 강세 전환을 기대하긴 어렵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대형 보유자의 지속적인 매도와 과도한 레버리지 청산은 시장의 불안 심리를 키우며, 비트코인의 단기 반등에도 여전히 ‘진 바닥’ 여부는 불확실한 상태다.
💡 전략 포인트
단기 매수세는 중형 지갑에서 비롯되었지만, 구조적 매물 압력 해소 전까지 확신 있는 상승은 제한적일 수 있다. 기술적 반등보다는 펀더멘털 회복 여부에 주목해야 한다.
📘 용어정리
- 고래 투자자: 일반적으로 1,000 BTC 이상을 보유한 기관 투자자나 대형 개인 보유자
- 롱 포지션 청산: 시장 하락 시 공매수 포지션이 강제로 정리되는 현상
- 재분배: 강세장의 고점 근처에서 장기 보유자가 수익 실현하며 매도하는 움직임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