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의 자체 암호화폐인 XRP가 하루 만에 약 7% 급등하며 1주일 만에 2.30달러(약 3,370원)선에 근접했다. 최근 미국 시장에서 상장된 현물 기반 XRP ETF(상장지수펀드)의 긍정적 반응이 가장 큰 상승 요인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대형 보유자들의 매도 움직임이 이어지며, 상승세의 지속 가능성에는 의문이 제기된다.
XRP는 지난주 전체 암호화폐 시장이 조정을 받을 때 2.50달러(약 3,662원)에서 1.85달러(약 2,710원) 밑으로 하락하며 한동안 약세장을 보였다. 하지만 이후 매수세가 유입되며 반등했고, 특히 지난 24시간 동안 두드러진 가격 회복을 보이며 주간 고점을 형성했다.
이번 상승장은 미국 내 첫 XRP 현물 ETF들이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되면서 촉발됐다. 총 네 개의 XRP ETF 가운데 그레이스케일은 첫날 6,736만 달러(약 987억 원), 프랭클린템플턴은 6,259만 달러(약 917억 원)에 달하는 자금을 유입시켰다. 이는 XRP ETF 출범 이래 두 번째로 높은 순유입 기록이다.
이처럼 ETF 수요가 높아진 것은 XRP의 기관 수요 증가를 반영하는 긍정적 신호다. 앞서 비트와이즈와 캐너리캐피털이 출시한 XRP ETF들은 상장 직후 가격 조정을 겪었지만, 이번에는 오히려 반등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 반응이 달라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모든 지표가 장밋빛은 아니다. 온체인 애널리스트 알리 마르티네즈에 따르면, 대형 투자자들은 최근 1억 8,000만 개 이상의 XRP를 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약 4억 1,300만 달러(약 6,049억 원)에 달하는 물량이다. 고래들의 연이은 매도는 단기적으로 가격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소규모 투자자들의 ‘공포 매도’를 자극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XRP는 이번 주 사흘 동안 약 20% 상승했고, ETF 상장은 중장기적으로 XRP에 대한 대중적 채택과 가격 안정성을 강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그러나 고래들의 수급 변화와 변동성은 여전히 주의가 필요한 변수로 남아 있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ETF 상장이 XRP 수요 견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고래 매도세가 상승 지속성에 제약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 전략 포인트
ETF 순유입 증가와 거래소 상장을 호재로 보는 반면, 단기 투자자는 고래 물량과 변동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용어정리
- XRP: 리플(Ripple)사가 발행한 대표적인 글로벌 송금용 암호화폐
- ETF(상장지수펀드): 특정 자산 가격을 추종하는 투자상품으로 거래소에서 주식처럼 거래됨
- 고래(Whale): 대규모 암호화폐 보유자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