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샤프지수, 역사적 저점 재진입…장기 추세 전환 신호 주목

| 손정환 기자

비트코인(BTC)이 최근 매수 관점에서 보기 드문 '위험 대비 수익' 신호를 다시 한번 보여주고 있다. 이 지표는 지난 2019년, 2020년, 2022년에 딱 세 번만 관측된 적이 있는 희귀한 상황으로, 향후 추세 반전을 기대케 한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분석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샤프지수(Sharpe ratio)가 거의 0에 가까운 수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샤프지수는 자산의 수익에 대비한 리스크를 측정하는 지표로, 수치가 낮을수록 수익보다 리스크가 큰 불안정한 구간임을 뜻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처럼 '위험 대비 성과가 저조해 보이는' 시기에도 장기 투자자에게는 큰 수익 기회가 숨어 있다는 것이 분석진의 해석이다.

크립토퀀트는 "지금과 유사한 저(低) 샤프 국면은 역사적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극대화될 때 나타났다"며 "이는 중장기 새로운 추세 전환의 신호일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투자자들이 '비대칭적 기회'를 찾을 때는 고샤프 시기보다 저샤프 구간에서 더 나은 조건을 마주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현재 비트코인은 87,372달러(약 1억 2,814만 원)까지 반등하며, 과거 상승장의 발화점이었던 핵심 영역에 진입한 상황이다. 아직 추세 확정이라 보기 어렵지만, 위험 대비 수익 비율 관점에서는 분명 매력적인 지점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시장 잡음이 여전히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크립토퀀트는 "확신보다는 신중함이 필요한 수치"라며 "추세가 명확히 돌아서기 전까지는 변동성 장세가 지속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해 유명 트레이더 닥터 프로핏(Dr. Profit)은 최근 비트코인 상승이 근본적인 강세장이 아닌 '심리적 반등'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그는 “트레이더들이 다시 낙관론을 가지도록 유도하는 구조이며, 이는 다음 하락의 전조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특히 지난 여름부터 하락 다이버전스, 주간 기준 이동평균(EMA50W) 하락 돌파, 유동성 고갈 등 전반적인 약세 구조가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비트코인 시장이 2021~2022년 하락장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며, 일본은행 위기와 리테일 투자자들의 무분별한 '저가 매수' 시도로 인해 또 다른 가격 조정이 나올 가능성을 경고했다.

매수와 관망 사이에서 고민하는 투자자에게 지금은 ‘어떻게 들어갈 것인가’에 초점을 맞출 때다. 장기기회는 존재하지만, 단기 리스크 관리 전략이 병행되어야 한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 비트코인 샤프지수가 0에 가까운 역사적 저점 재진입

- 과거 사례 상 주요 상승장 이전과 유사한 조건 형성

- 단기적 반등은 심리적 요인 가능성 커

💡 전략 포인트

- 장기 투자자는 비대칭 수익 기회를 노릴 수 있는 시점

- 단기 트레이더는 변동성, 추세 확정 신호 여부 면밀히 점검 필요

📘 용어정리

- ‘샤프지수’(Sharpe Ratio): 투자 성과의 '위험 대비 보상' 정도를 수치화한 지표. 수치가 낮을수록 변동성이 크다는 뜻

- ‘다이버전스’(Divergence): 가격 움직임과 지표 간 괴리로 추세 반전을 시사할 수 있는 기술적 신호

- ‘EMA50W’: 50주 지수이동평균선, 장기 지지선 혹은 저항선 구조로 활용됨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