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8만 9,000달러 돌파 후 하락…옵션 만기 앞두고 하락 베팅 우세

| 서지우 기자

비트코인(BTC)이 단기 상승세에 제동이 걸렸다. 전날 한때 8만 9,200달러(약 1억 3,079만 원)를 돌파했지만 상승폭을 지키지 못하고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주 후반 대규모 옵션 만기를 앞두고 ‘매도’ 베팅이 우세해, 투자자들의 경계심도 커지고 있다.

오는 7일(금) 만기가 도래하는 비트코인 옵션 규모는 약 140억 달러(약 20조 5,268억 원)에 달한다. 특히 대부분의 콜옵션(매수 권리)은 행사가가 9만 1,000달러(약 1억 3,339만 원) 이상에 몰려있어, 현재 시세에서 크게 벗어난 상태다. 이는 옵션 포지션상 매도(풋옵션)가 유리한 구간이라는 뜻으로, 시장 심리상 ‘불리시(상승)’보다 ‘중립~약세’ 시나리오가 우세하게 작용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은 최근 발표된 미국 지표들의 영향도 크다. 미국 민간 고용지표(ADP)가 예상을 하회했고, 소비자 신뢰지수 또한 하락세를 보이면서 경기 둔화 우려가 재부각됐다.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당장 가시화되지 않는 상황에서, 상승 모멘텀이 약해진 비트코인 가격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트레이더들은 연말을 겨냥해 10만 달러(약 1억 4,662만 원) 부근의 콜옵션을 새롭게 추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비트코인이 당장 약세를 보이더라도 장기적 랠리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방증이다.

옵션 만기를 앞두고 숏 포지션 세력의 압박이 커질 수 있는 만큼, 단기적인 변동성 확대에 주의가 요구된다. 옵션 시장의 방향이 현물 가격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서, 매매 판단 시 포지션 해석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이번 옵션 만기에서 상승 베팅보다 하락 쪽 포지션이 우세, 단기 약세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연말 랠리에 대한 기대심리는 살아있다.

💡 전략 포인트

- 단기 파동은 옵션 만기 전후로 흔들릴 가능성이 크므로, 관망 전략 유효

- 파생시장 움직임에 따른 숏 스퀴즈 가능성도 염두

- 연말 전고점 돌파 전망은 여전히 트레이더 심리에 반영되고 있음

📘 용어정리

- 콜옵션(Call Option): 일정 가격에 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

- 풋옵션(Put Option): 일정 가격에 자산을 팔 수 있는 권리

- 만기(Expiry): 옵션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날, 해당 시점에서 정산됨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