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펄 멀티플 1 이하 진입…과거 상승 전환 신호 반복되나

| 손정환 기자

비트코인의 주요 기술 지표 중 하나인 '펄 멀티플(Puell Multiple)'이 다시 ‘디스카운트 존(할인 구간)’에 진입했다. 이는 채굴자 수익성 기준으로 시장이 과매도 상태일 수 있음을 시사하며, 과거에는 주요 상승 전환 구간에서 동일한 현상이 관측된 바 있다.

온체인 분석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애널리스트 ‘가(Gaah)’는 26일 “다시 펄 멀티플이 하락세를 탔고, 1 아래로 떨어지면서 채굴자들이 평소보다 낮은 수익을 얻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이는 채굴자들이 재무적으로 압박을 받으며 채굴을 일시 중단하거나 비축한 비트코인을 매도할 가능성을 높이는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펄 멀티플은 비트코인 채굴자의 일일 수익을 1년 평균치로 나눈 지표다. 이 수치가 낮을수록 채굴 수익성이 악화됐음을 뜻하며, 역사적으로는 ‘시장의 바닥’ 신호로 간주돼왔다. 가 애널리스트는 “지표가 할인 영역에 진입할 때마다 새로운 상승장이 시작됐다”며 “이는 하락장이 끝났다는 보장은 아니지만, 통계적으로 대세 전환이 시작되는 신호였다”고 말했다.

이처럼 비트코인 시장은 ‘위험은 낮아지고 상승 가능성은 커지는 국면’에 들어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크립토퀀트는 “가장 비관적인 시기일수록 새로운 랠리가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

또한 다른 지표들도 비슷한 시그널을 보내고 있다. 비트코인 채굴자의 해시레이트 당 수익인 ‘해시 프라이스(Hash Price)’는 약 4개월간 43% 하락해 현재 0.036달러(약 53원)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 중이다. 해당 데이터는 채굴자가 테라해시당 하루에 벌 수 있는 금액을 나타낸다.

투자 리스크 대비 수익을 측정하는 '샤프 비율(Sharpe Ratio)'도 역사적 저점 수준에 접근했다. 샤프 비율이 낮을수록 시장 전반의 불확실성이 크고, 그만큼 위험 대비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시점일 수 있다는 평가다.

한편, 비트코인은 지난 12시간 동안 두 차례 88,000달러(약 1억 2,956만 원)를 테스트했지만, 해당 저항선을 돌파하지 못하고 다시 하락해 현재는 87,600달러(약 1억 2,905만 원) 수준에서 횡보 중이다. 시장 분석업체 샌티멘트(Santiment)는 “주초에는 반등이 있었지만, 투자자 평균 수익률은 아직 단기·중기 측면에서 손실 구간에 머물러 있다”며 회복세가 본격화되기엔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표상으로는 비트코인이 저점을 다지고 있는 모습이지만, 실질적인 반등을 위해선 기술적 돌파와 시장 심리의 개선이 병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펄 멀티플·샤프 비율 등 기술 지표는 현재 비트코인이 과매도 상태에 있음을 시사. 역사적으로는 강세 전환 구간에서 유사한 패턴이 반복돼 왔다.

💡 전략 포인트

현재는 통계적으로 진입 매력이 높은 국면. 다만 단기 저항선 돌파 여부에 따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 용어정리

- 펄 멀티플: 채굴자의 하루 수익을 1년 평균 수익으로 나눈 값. 1 미만이면 저평가 가능성 시사

- 해시 프라이스: 채굴자가 테라해시당 하루에 얻는 예상 수익

- 샤프 비율: 수익 대비 리스크 진단 지표. 0에 가까울수록 고위험 고보상 구간 시사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