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ETF 자금 유입에 11% 반등…‘표면 수요’ 26개월 최고치

| 민태윤 기자

이더리움(ETH)이 지난 11월 22일 3,000달러(약 440만 원) 아래로 하락한 이후 11% 반등하며 핵심 지지선을 되찾았다. 시장 전문가들은 기관 수요 증가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양적긴축 종료가 맞물리면서 3,600달러(약 530만 원) 수준까지 추가 상승이 가능하다고 전망한다.

이번 반등의 배경에는 외환시장과 ETF 자금 유입이라는 두 가지 요인이 자리잡고 있다. 최근 이더리움 관련 ETF로의 자금 유입이 확대되면서 기관 수요가 뚜렷이 살아나는 모습이다. 특히 12월 1일 예정된 미 연준의 양적긴축 종료는 전반적인 유동성을 높여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더리움의 ‘표면 수요(Apparent Demand)’ 지표는 2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강세 흐름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 지표는 하루 동안의 ETH 발행량과 1년 이상 거래되지 않은 비활성 공급량 변화량의 차이를 통해 시장 수요를 측정한다. 수치가 양수일 경우, 이더리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뜻한다.

투자사 카프리올 인베스트먼트에 따르면, 11월 22일 37,990 ETH였던 표면 수요는 26일 기준 90,995 ETH로 급증했다. 이는 이더리움 투자자들이 최근 조정을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을 뒷받침한다.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은 향후 또 다른 상승세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시장 기대를 높인다.

기술적으로도 이더리움은 ‘V자 반등’ 패턴을 형성하고 있어, 현재 지지선이 유지된다면 다음 목표가격은 3,600달러(약 530만 원)로 설정되고 있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이더리움 수요 회복과 유동성 재확장은 시장의 전반적인 투자심리가 회복 국면에 접어든다는 신호일 수 있다.

💡 전략 포인트

ETF 유입, 유동성 확대, 기술적 반등 구조 등을 근거로 비트코인(BTC) 이후 순환적인 상승 대상이 이더리움이 될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용어정리

‘표면 수요(Apparent Demand)’: 신규 발행량과 장기 보유 물량의 변화를 통해 추정한 실질 수요. 양수일 경우 시장의 매수세가 우세함을 나타냄.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