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다노(ADA) 투자자 중 일부가 예치한 에이다(ADA) 700만 개 이상이 보상 손실 위험에 직면했다. 이는 주요 스테이킹 풀 운영자의 은퇴로 인해 발생한 문제로, 사용자들이 아직 비활성화된 풀에 자산을 위임하고 있기 때문이다.
카르다노 커뮤니티 일원인 ‘Cardano YOD₳’에 따르면 현재 약 1,683개의 지갑에서 총 700만 개 이상의 에이다를 여전히 ‘AAA’라는 이름의 은퇴한 풀에 위임하고 있다. 이 풀은 운영자 ‘Homer J.’가 과거 메인넷 포크를 일으킨 장본인으로, 이후 해당 풀을 폐쇄했다. 하지만 많은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계속 위임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스테이킹 시스템상 은퇴한 풀에 자산을 맡기면 블록 생성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보상을 받을 수 없다. 실제 자산에는 손실이 없지만, 해당 풀을 통해 발생할 수 있었던 이자 수익은 모두 놓치게 되는 셈이다. Cardano YOD₳는 트위터를 통해 “더 이상 활동하지 않는 Homer J.의 풀에 위임한 지갑들은 즉시 활성 풀로 재위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카르다노 커뮤니티 내에서는 이 같은 사태가 운영자의 단순 실수로 인한 결과라는 지적도 나왔다. 사용자 반응을 보면 일부 투자자들은 이미 다른 풀로 이동을 고려하고 있으며, ‘MANDA’와 ‘PLKOZ’ 같은 대안 풀이 거론되고 있다.
이번 사태는 카르다노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에이다는 11월 26일 0.4059달러(약 596원)까지 하락했으며, 보도 시점에는 0.4141달러(약 609원)로 다소 반등했지만 여전히 0.50달러(약 735원)를 돌파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하루 거래량은 약 5억 7,142만 달러(약 8,399억 원)로 전일 대비 21.76% 감소했다.
한편 시장은 12월에 예정된 주요 이벤트들에 주목하고 있다. 12월 5일부터 코인베이스의 에이다 24시간 거래가 시작되고, 12월 8일에는 카르다노 측의 새 토큰 ‘미드나잇(Midnight)’이 출시된다. 또한 에이다 상장 확대 제안도 카르다노재단의 승인을 받은 만큼, 향후 가격 반등 가능성도 점쳐진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스테이킹 구조에 대한 이해 부족이 장기 투자자에게 실제 자산 손실은 없더라도 잠재 수익 손실을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 전략 포인트
장기 보유자라면 위임 중인 풀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운영 중인 풀로 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커뮤니티에서 추천하는 안정된 대체 풀 확인도 필요하다.
📘 용어정리
- 스테이킹(Staking): 보유한 암호화폐를 네트워크에 예치해 블록 생성에 참여하고 보상을 받는 행위
- 스테이킹 풀: 사용자들이 함께 자산을 모아 위임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서비스
- 에이다(ADA): 카르다노 블록체인의 기본 토큰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