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테더 ‘신뢰도 최하’ 평가…비트코인 담보 비중 과도 지적

| 서지우 기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레이팅이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의 신뢰도를 최하 등급으로 평가했다. 테더가 달러 가치와의 고정(페깅)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지를 의심한 평가다.

S&P는 테더가 비트코인(BTC), 금, 대출, 회사채 등 변동성이 큰 자산을 통해 USDT를 뒷받침하고 있다는 점에서 위험 요인이 크다고 지적했다. 특히 보고서는 테더 준비금의 5.6%가 비트코인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는 3.9%의 초과담보 비율을 상회한다고 밝혔다. 테더의 담보화 비율은 103.9%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대해 S&P는 “비트코인이나 다른 고위험 자산의 가격이 하락할 경우, 테더의 담보 커버리지가 약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즉, 시장 변동성이 커질 경우 테더가 미 달러 페깅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판단이다.

이번 평가 결과는 테더에 대한 전통 금융권의 불신을 다시금 부각시키는 신호로 풀이된다. 테더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스테이블코인이지만, 그동안 준비금 투명성과 자산 구성에 대해 끊임없이 의문이 제기돼 왔다.

S&P는 올해 초부터 주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자체 평가 시스템을 도입해 운영 중이다. 이 시스템은 각 스테이블코인이 달러 가치 유지를 위해 얼마나 투명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갖췄는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강함’부터 ‘약함’까지 총 5단계로 나눈다. 테더는 이 가운데 가장 낮은 ‘약함’(Weak) 등급을 받은 것이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S&P의 이번 평가로 테더의 안정성에 대한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글로벌 규제 당국과 기관투자자들이 스테이블코인의 리스크 관리와 투명성에 더욱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 전략 포인트

스테이블코인 시장 내에서 테더의 위치가 위협받을 가능성도 있다. 상대적으로 위험 자산 노출도가 낮은 USD코인(USDC)이나 파이낸스USD(BUSD) 등 다른 스테이블코인으로의 수요 이동도 일부 일어날 수 있다.

📘 용어정리

- 스테이블코인: 법정화폐 등 자산의 가치를 추종해 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암호화폐

- 담보화 비율: 발행된 스테이블코인에 비해 실제 지원되는 자산의 수준

- 초과담보(Overcollateralization): 예상 가치 하락에 대비해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담보를 보유하는 방식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