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ngX, AI 자동매매·카피트레이딩 앞세워 글로벌 거래소 도약

| 민태윤 기자

BingX가 최근 몇 년 새 다양한 기능을 통합하며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중 강자로 부상하고 있다. 낮은 수수료, 카피트레이딩, 자동화 도구 등을 두루 갖추면서 초보자와 숙련자 모두를 겨냥한 플랫폼으로 진화 중이다.

2018년 조쉬 루(Josh Lu)가 설립한 BingX는 현재 전 세계 2,000만 명 이상이 이용하고 있을 정도로 빠르게 성장했다. 특히 현물거래 및 선물상품을 비롯해 카피트레이딩·AI 기반 거래 도구·자동화봇·이자형 상품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간편한 인터페이스와 모바일 앱 호환성도 높아 사용자 접근성 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카피트레이딩은 BingX의 대표 기능 중 하나로, 숙련된 트레이더의 전략을 그대로 따라 할 수 있어 암호화폐 초보자들에게 특히 인기가 있다. 최근에는 AI 모델을 통한 자동 복사 시스템도 추가돼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또한, 퀄리티 높은 투자가 가능하도록 전략 템플릿과 다양한 설명 콘텐츠도 함께 제공된다.

자동화 거래 측면에서도 강점을 보인다. BingX는 현물과 선물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그리드 거래 봇을 비롯해 고도화된 AI 자동화 도구를 제공한다. 코딩 없이도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어, 테스트용 데모 기능도 함께 제공된다.

또 다른 주목할 상품은 '듀얼 인베스트먼트'다. 이용자는 특정 가격에 디지털 자산을 매수하겠다고 사전 설정하고, 이에 따른 프리미엄을 고수익으로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을 91,500달러(약 1억 3,379만 원)에 매수하겠다고 선택하면 실제 가격과 관계없이 설정가 기준으로 투자 수익을 얻게 되는 구조다. 다만, 변동성이 큰 시장 상황에서는 리스크도 따르므로 사용자 판단이 중요하다.

수수료 측면에서도 BingX는 경쟁력이 높다. 현물 거래의 기본 수수료는 0.1%로 바이낸스와 유사하며, 선물 거래의 경우 메이커·테이커 모두 낮은 수치로 설정돼 있다. 유동성도 주요 페어에서는 충분히 확보돼 있어 빠른 체결이 가능하다. 다만, 소형 알트코인 마켓에서는 유동성이 얇아 스프레드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보안성과 신뢰도에서는 업계 표준을 충실히 따른다. BingX는 해킹 이력이 전무하며, 2단계 인증, 콜드월렛 보관, 거래별 계정보안 등 다양한 보호체계를 갖추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보유 자산을 투명하게 증명하는 ‘준비금 증명(Proof of Reserves)’도 공개해 신뢰도를 높였다.

규제 측면에서는 아직 주요 선진국 시장 진출에 제약이 있다. 미국, 영국, 캐나다 등에서는 서비스가 제한되며, BingX가 정식 라이선스를 보유한 지역은 상대적으로 적다. 그러나 이는 기존 글로벌 거래소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이기도 하다.

사용자 평가는 양면적이다. 플랫폼 사용성은 높으나 트러스트파일럿 등 리뷰 사이트에서는 1.8점(5점 만점)에 그치는 낮은 평점을 보인다. 하지만 이는 대부분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겪는 현상으로, 사용자 불만이 리뷰에 더 많이 반영되는 경향 때문이다. 참고로 바이낸스는 1.4점에 머물고 있다.

종합적으로 BingX는 다양한 금융상품과 풍부한 자동화 도구, 강력한 카피트레이딩 기능을 통해 ‘사용자 중심’ 거래소로 평가받는다. 다만, 규제 불확실성과 일부 마이너 마켓의 유동성 이슈는 고려해야 할 포인트다. 전반적으로 고도화된 플랫폼을 찾는 사용자와 기술 기반의 거래를 선호하는 투자자에게는 유용한 선택지로 보인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BingX는 AI 자동거래 및 카피트레이딩 등 차세대 거래 기능을 강화하며, 기술 중심의 글로벌 거래소로 빠르게 성장 중이다.

💡 전략 포인트

범용 거래소보다는 리테일 사용자와 신흥 트레이더에 포커스된 서비스 구조로, 규제가 느슨한 국가에서 우선 접근하는 전략이 유효할 수 있다.

📘 용어정리

카피트레이딩: 숙련된 거래자의 매매를 그대로 따라 하는 거래 방식

듀얼 인베스트먼트: 사용자가 특정 가격에 디지털 자산을 매수 또는 매도하겠다는 조건으로 투자 수익을 받는 방식

준비금 증명(Proof of Reserves): 거래소가 보유한 실물을 외부 감사 또는 온체인 방식으로 공개하여 사용자 신뢰를 확보하는 제도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