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챗봇 엇갈린 전망…비트코인($BTC) 9만 2,000달러 회복에 시장 반전 신호

| 손정환 기자

비트코인(BTC)이 지난주 급락 이후 9만 2,000달러(약 1억 3,464만 원) 근처까지 반등하면서 시장 회복 신호를 보이고 있다. 불과 며칠 전 8만 달러(약 1억 1,707만 원) 선까지 떨어졌던 시세 반등에 대해, 주요 인공지능(AI) 챗봇들은 서로 다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챗GPT는 비트코인이 9만 달러를 돌파한 것은 ‘강한 상승 시그널’이라며, 현재 ‘완전한 상승장’은 아니지만 뚜렷한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는 판단을 내렸다. 특히 최근 비트코인 현물 ETF에 유입된 자금 흐름과 2017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거래소 보유량을 근거로 제시했다. 중앙화 거래소에서 빠져나간 58만 개가 넘는 비트코인은 투자자들이 자산을 자가보관 지갑으로 옮기고 있음을 뜻하며, 이는 단기 매도 압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X(구 트위터)의 AI 챗봇 ‘그록(Grok)’은 이번 반등을 '상승 재개를 위한 리셋 구간'으로 해석했다. 특히 다음 달 미 연준(Fed)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한다고 봤다. 지난 10일 기준금리 인하 확률은 20%에 불과했으나 최근 연준 인사들의 발언 이후 83%까지 급등했다는 폴리마켓(Polymarket)의 데이터도 이 의견을 뒷받침하고 있다.

구글의 젬니(Gemini)는 비트코인이 ‘전례 없는 채택 확산과 강한 성장 환경’ 속으로 진입했다고 분석했다. 젬니는 “이제 비트코인 수요는 채굴 보상보다 월가의 움직임에 의해 주도된다”며, 새로운 강세장의 일환으로 진단했다.

반면, 퍼플렉시티(Perplexity)는 비교적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당장은 가격이 반등했지만, 시장 기반이 여전히 약하며 향후 7만 5,000달러(약 1억 976만 원)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다만 퍼플렉시티 역시 향후 금리 인하가 ‘약세장 전환을 막는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는 데에는 동의했다.

비트코인 시장은 현재 매크로 변수와 수급 구조가 복합적으로 맞물리며 중대 전환기에 접어든 모습이다. ETF 자금 흐름, 거래소 보유량, 금리 정책 등은 향후 추세를 가를 핵심 지표로 꼽힌다. 아직 완전한 강세장 재개로 단정하긴 어렵지만, 시장은 움직일 준비를 다시 갖추고 있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비트코인의 반등은 단순한 기술적 회복이 아닌, 월가 자금 유입과 공급 제한 현상이 맞물리며 탄력을 받고 있는 구조적 회복 가능성을 시사한다.

💡 전략 포인트

단기적으로는 ETF 자금 동향과 금리 정책이 핵심 변수. 장기 보유자들은 자산 이전 흐름을 통해 매도 압력이 약화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용어정리

- ETF(Exchange-Traded Fund): 거래소에 상장된 펀드.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한 ETF는 기관투자자의 접근 통로 역할을 함.

- 자가보관(Self-custody): 개인 지갑에 보관하는 형태로, 중앙화 거래소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함.

- 폴리마켓(Polymarket): 탈중앙화 예측 시장 플랫폼. 금리 인하 가능성 등 다양한 사건에 대한 시장 기대를 수치로 보여줌.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