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BTC, 90,000달러 회복에도 '수요 부진' 지속…84,000달러 지지선 시험대

| 민태윤 기자

비트코인(BTC)이 이번 주 한때 90,000달러(약 1억 3,167만 원)를 회복했지만 온체인 지표는 상승세에 균열이 있다는 경고를 보내고 있다. 84,000달러(약 1억 2,292만 원) 부근의 강력한 매수 기반에도 불구하고, 수요와 유동성, 파생상품 거래는 여전히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온체인 분석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84,000달러 수준에서 40만 개 이상의 BTC가 축적된 탄탄한 ‘지지층’을 형성했다. 이 가격대가 기술적 바닥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정작 그 위로는 매수세가 얕아 상승 동력을 뒷받침하기엔 부족하다는 분석이다.

특히 유동성 지표는 2022년 초 약세장 초기와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최근 자금 흐름의 대부분이 손실에서 기인해 약세 심리가 우세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현 손실이 과도하게 이어지며 매도 압력이 여전히 시장에 남아 있다는 것이다.

파생상품 시장에서도 분위기는 녹록지 않다. 최근 선물 포지션 변동의 대부분이 숏커버링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단기 반등을 위한 매도 포지션 해소였지, 새로운 ‘롱 포지션’ 진입은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비트코인이 90,000달러를 회복했음에도 실제 매수 의지가 강하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비트코인이 추가 상승세를 굳히기 위해서는 84,000달러 이상의 가격 구간에서 실질적인 현물 수요가 증가해야 한다. 수급 기반이 견고해질 때 비로소 이번 반등이 ‘회복의 시작’인지, 일시적 반등에 그칠 것인지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비트코인의 단기 반등은 기술적 지지선에 의해 유도됐지만, 근본적 수요가 부족해 지속 가능성이 낮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 전략 포인트

84,000달러 지지선 위의 현물 수요 추이를 확인하며 고점 추격 매수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용어정리

- 숏커버링: 공매도 후 포지션을 청산하기 위한 매수 행위

- 온체인 데이터: 블록체인 상의 실시간 거래 및 잔고 데이터를 분석한 정보

- 코스트베이시스 클러스터: 특정 가격대에서 구매된 코인들이 집중된 영역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